[현대시] 2022학년도 수능 <문학> 출제예측!!!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36637224
안녕하세요. 오르비클래스 국어강사 이성권입니다. 2022학년도 예시문항 [현대시]를 출제 분석함으로써, 2022학년도 수능 <문학>을 예측해보려고 합니다.
--
<출제의 전반적인 특징>
1. 작품 선정 (어떤 시대의 작품을 선정하나요?)
20~30년대의 대표 시인 ‘백석’의 작품 ‘수라(修羅)’와 90년대 이후의 대표 시인 김선우의 ‘신(神)의 방’2편이다. 일제치하의 시와 최근 현대시를 각각 선정하여 출제했다. 2021학년도 수능에서도 30년대 작가 이용악의 ‘그리움’과 90년대 작품 ‘내 마음의 고향’을 엮어서 출제했다.
이처럼 각기 다른 시대적 배경 아래 창작된 작품을 결합하여 2022학년도에서도 출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2. 작품 내용의 특성 (어떤 내용이 출제되나요?)
백석의 ‘수라’(修羅)는 ‘아수라’(싸움만 일삼는 귀신의 이름, 또는 그 지옥과 같은 장소)를 지칭하며 가족들과 이별한 아픔을 노래한다. 김선우의 ‘신의 방’은 제주도 ‘통시’라는 공간에서 돼지와 인간이 합일되어 누리는 생명의 삶을 표현했다. 이 두 작품은 ‘가족’과 ‘생명’의 문제로 볼 수 있다. 백석의 ‘수라’는 개미를 통해 잃어버린 가족을 되돌아보는 내용으로 크게 보면 ‘생명’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다. ‘생명’이라는 주제는 수능 현대시 출제의 1위에 해당되는 내용이므로 EBS 수록 작품 중에서도 이에 속하는 작품들을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눈여겨 보고 정리해야 한다.
3. 출제의 시각 (새로운 출제 방식은?) : 현대시 갈래의 비교
백석의 ‘수라’는 ‘이야기시’이다. 김선우의 ‘신의 방’은 ‘산문시’이다. 서정시의 하위 갈래인 두 양식을 선택하여 <보기> 내용을 구성하였다. 비록 문제 풀이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미숙함이 보이지만 6.9월 모평의 실험을 통하여 2022학년도 수능에 반영될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주목해서 보아야 한다. 소설에서도 고소설과 야담의 관계와 특성을 출제하였으니 이러한 관련있는 갈래별 특성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4. 4문항별 출제 특성 분석
1) 1번 : 가)와 나)에 대한 설명 문제이다.
‘공감각적 표현’, ‘반어적 표현’, ‘소재의 대립적 관계’, ‘독백적 어조’, ‘대화적 어조’, ‘인식의 변화’, ‘대상의 가치’ 등의 어휘나 필수 개념어들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현대시의 내용과 표현방식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어를 활용하여 2022학년도 수능에서도 출제될 가능성은 거의 100% 이상이므로 이에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 (만약 개념어에 자신이 없다면, 아래 강의를 수강하길 권한다.)
2) 2번 : ‘공간을 중심으로 가)를 이해한 내용’을 묻고 있다.
‘공간’은 ‘시간’과 더불어 문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출제되는 항목이다. 왜냐하면 화자나 인물들은 결국 어떤 ‘공간’에서 그들의 삶을 전개해나가고 있으며 각기의 ‘기억된 경험’이 ‘감각적으로 표현된 곳’으로 매우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 ‘공간’ 속에는 인간의 어떤 정서와 생각과 감각이 묻어 있다. 문학을 문학으로 만들어 주는 기본 토대가 ‘공간’이므로 어떤 작품에서든지 먼저 ‘공간’에 주목하여 읽어야 한다. 그때 작품은 의미있게 살아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도 ‘공간’과 ‘시간’의 문제 출제는 불가피하므로 이를 중심으로 작품을 읽는 연습을 해야 한다.
3) 3번 : 나)의 ㉠∼㉤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이다.
‘신의 방’의 밑줄 친 ㉠∼㉤의 의미를 시의 주제와 관련하여 선지를 작성했다. 제시문의 표현을 다시 다른 언어로 풀어 쓴 것이므로 ‘이 말이 그 말인가?’를 정보 인식적 차원에서 묻고 있다.
따라서 문학적 감수성이나 특별한 능력이 있어야 되는 것이 아니고 의미 내용으로 서로 통할 수 있는가? 하는 기본적인 맥락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 사실 실제 시험장에서는 제시문과 선지의 언어 표현 사이에 깔린 이러한 의미 파악의 문제를 어려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더 단순하게 선지 내용을 압축하여 간추려서 의미를 파악하는 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도 ㉠∼㉤에 대한 이해 문제는 반드시 출제된다고 보아야 한다.
4) 4번 : <보기>를 바탕으로 가)와 나)를 이해한 내용을 묻는 문제이다.
<보기>의 길이가 실제 수능보다 2배 정도 길게 출제한 점이 눈길을 끈다. 하지만 실제 수능에서 이렇게 길게 나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그리고 <보기>의 핵심 내용이 ‘이야기시’와 ‘산문시’의 특성을 설명한 것인데 실제로는 이와 무관한 것을 답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보기>의 관점에서 작품을 새롭게 해석하고 논리적으로 대응, 적용하여 풀라는 기존 출제의 논리와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것은 출제의 미숙한 점으로 평가될 수 있다. 기존의 출제 방식을 따르지 않아서가 아니라 <보기>의 비중을 통해 볼 때 <보기>가 없어도 답이 될 수 있는 선지라면 굳이 <보기>를 동원할 논리적 타당성이 없으므로 출제진들 사이에서도 반드시 검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2022학년 수능에서도 역시 <보기> 문제는 최소 1문항, 최대 2문항까지 나올 수 있으므로 기출 문제의 <보기> 접근 풀이법을 통해서 충분히 미리 훈련해야 한다.
--
다음 칼럼에서는 위 문항들에 대한 정답과 오답의 이유를 분석하겠습니다. 팔로우해두시면, 칼럼 올라왔을 때 알람이 갈 겁니다.
0 XDK (+500)
-
500
-
아직 재수라 잘 모르겠어요 。◕‿◕。
-
매년 업로드 얘기가 끊이지 않는데 커리는 더 많아지는 이상한 현상
-
살짝 짜치는면이 있긴해 물론 실력하고 대중성은 ㅇㅈ
-
출격까지 D-9
-
근데 이제 내가 사수생임
-
고등학생들 상대로 형식 갖고 아 이건 질문 형식이 잘못됐네요 우진희라고 쓰면 질문...
-
그럼 내가 특정되잖아 으아
-
막상 본가 온지 몇일 되니까 할 게 없네
-
수1 질문 2
나름 맞게 작성했다고 생각했는데 가능한 t값이 안 나오네요.. 더 경우의 수가...
-
방굽습니다 1
-
본인 언매 체크메이트 들음 질문 게시판에 질문 남겼는데 한 20분? 있으니까 바로...
-
설탭도 가입하려다 끔 귀차니즘의 인간화가 내가 아닐까
-
이제 자야겠다 1
이러고 눈팅더하다 잘듯
-
낚시나 하러가자 2
기다릴게
-
그 분은 s대에 가셨음
-
뻥임
-
현 솔랭 근황 0
쇼메이커/듀로 VS 스매시/웨이
-
놑북 두 개 돈 낭빈가 11
으어
-
쓱싹쓱싹
-
창업도 안한 일반인이 부자가 되는건 불가능에 가까움? 걍 평생 평민으로 살아야함?
-
할부값 나가는 게 빡세네
-
같은 실수를 반복
-
아 자퇴 신청 3
귀찮아
-
옯스타 맞팔구 2
furude_235
-
정시 추가모집 0
수시 이월된건데 아무도 지원안한과면 무조건 추가모집하나요? 특별전형으로 이월된거면...
-
지금잠에들지않으면 11
잠에안드는거죠
-
관리자님도 재밌다는게 재밌네요 ㅋㅋㅋ
-
ㅈㄱㄴ
-
수1수2 개념있다는 전제하에 수학을 반이상포기한 학교에서 학원이랑 학교 수업만...
-
자니? 21
자는구나..
-
전 착한 어린이가 되고싶어여
-
ktx가 정차하지 않고 그냥 지나칠 정도의 그런 어릴적에는 할머니 할아버지 봬러...
-
크리스피 닭가슴살 크런치 닭다리살 이거 두개 에어프라이 돌려먹으면 맛있음 요새...
-
가족관계부터 친구관계 연인관계까지 새삼 다시 깨달음 나를 필요로 하는 누군가가...
-
아….. 낮밤 바뀌나 요새 계속 저녁에 못 참고 기절하네
-
。◕‿◕。
-
하핳.. ... 그래그래.. 우리는 이걸 돈주고 산단다..
-
둘 다 인문. 경기도 살고 PK에서 취업할 생각 절대 없음. 졸업하면 칼같이...
-
ㅈㄱㄴ 여기 끝나자마자 셈퍼님이 궁금하다 했었는데 결말이 궁금함 교우식으로 몇점에서 끊길 것 같음?
-
나가서 쉬지않고 전력질주 30분하고 집와서 따뜻한 물에 샤워하고 나면 잠 잘옴
-
현역정시의대 질받 17
심심해요 아무거나 ㄱㄱ
-
Bet i need it it it it it it it 0
Burning slow o o o o o o o
-
현역 55354 재수 망함 삼수~사수 군대가고 사실 이때 수능 반포기하고 놀음...
-
설평 ㅋㅋ 6
계정 샀나 ㅂㅅ이
-
후... 217판 록리 드디어 오는구나...
-
중대 경영은 예비 500번대라 될 거 같고 경희대는 최초합임다 여러분이라면 어디 가실 것 같나요?
-
. 2
-
예비 몇번까지 돌것 같으신가요 ㅠ
안녕하세요! 쌤 제가 2013학년도 수능 언어 쳤었는데요 그전 고 2때까지 언어 1등급~2등급 나왔지만 100점이 잘 안나왔었는데 쌤 문학적개념어와 논리적해석 1회독하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언어 1등급, 그리고 수능언어 100등급 맞았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감사했었습니다! 과외 학생들한테도 쌤 책 추천 엄청했었어요 ㅋㅋ
100등급은 머죠?ㄱㅋㄱㄱㄱ
아앗... 제가 오타를 내버렸네요 100점이에요 ㅜㅜ 옛날에 수능쳤었는데 직장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의대수능 다시 준비하는 n수생이에요! 알바아니구 그냥 반가워가지고 글쓴거에요!
알바 어서오고
13학년도가 여길 두리번거리노
알바도 아닌 것 같고 조롱 받을 댓글은 더더욱 아닌 거 같은데 좋은 정보 주시는 글에 굳이 공격적인 댓글 다실 필요 없지 않나요
13년도 고2, 22 의대?
[가자22의대 · 1016783]님이 작년 12월 https://orbi.kr/00034430093/ 에 쓴 댓글 보면, 직장인 수능준비생이라고 밝힌 부분이 있습니다. 딱히 모순적인 부분은 없는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해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바 아니고 그냥 나이먹어 수능 다시 치는 n수생이에요~ 보통 이나이에 수능 다시친다고 학생들이 생각하지 않으니까 알바아닌지 충분히 의심할수 있는것 같아요!! 더군다나 제가 오타를 100등급이라고 내버렸으니까 저라도 의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이성권 선생님 보고 반갑고 고마워서 글을 쓴 건데 혹시 쌤께 폐가되지 않았을까 걱정이 되네요.. 그 때 쌤덕분에 원하는 대학 갔던 것 같아요! 지금 비록 ㅜ 다시 수능치지만 감사했었습니다 정말!
이해황 선생님께도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이게 무슨;;; 좀 무서운데... 이해황 쌤;;; 뭐죠;;;
선생님 감사합니다.
저 지문은 수특에 있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