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비문학] N회독은 프레임이다.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36982893
저번 EBS 활용법에 이어서,
매년 반복되는 물음에 대해 답해보려 합니다.
'기출은 몇 번 정도 봐야 적당할까'라는 물음에
정답은 사실 '얻어갈 게 없을 때까지'입니다.
무슨 얘기일까요?
10번을 보더라도 기출을 올바른 방법으로 공부하지 못했다면 실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한두번을 보더라도 제대로 공부하면 실력의 질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 같지만,
제가 현역 때도 '기출 N회독'이 마치 게임의 레벨이나 성취도처럼 여겨지던 풍조가 있었는데
여전히 '기출 몇 번 봤냐'가 일부 학생들에겐
'얼마나 공부 열심히, 많이 했냐'의 척도로 생각되는 것이 안타까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10번을 봐도 아직 이해가 되지 않는 문장, 헷갈리는 선지가 있다면
이전의 9번은 의미 없는 시간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저는 작년에 N수생들을 10명 가까이 가르쳤습니다(일부는 저보다 나이가 많으셨습니다).
현역, 재수는 몰라도 삼수를 넘어가게 되면 사실 대부분의 기출 지문을 공부해봤을 겁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 지문에서 열의 일당량 얘기 왜 나온 거죠?', '카르노의 설명이 왜 에너지 보존 법칙에 위배되죠?'
(2017 9평)
'인과성 얘기는 왜 써놨을까요?'
(2020 6평)
'로열티의 문맥 안에서의 의미가 뭐죠?'
(2021 6평)
이런 질문에 대해 제대로 답한 학생은 거의 없었습니다.
기출을 여러번 보면서도
각 표현을 왜 썼을지, 해당 문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보조사와 접속사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묻지 않고
오로지 선지에서 답을 내는 것에만 집중하여 공부하다보면 실력이 상승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한 번을 공부하더라도
지문을 완전하게 이해하면서 넘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문장이 서로 어떻게 이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개별 표현들의 지문 안에서의 의미를 정확하게 받아들이며
<보기>와 선지를 통해 지문의 내용을 확장시키는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이죠.
물론,
사람이니만큼 한 번 공부해서 모든 것을 얻어가기는 힘듭니다.
한번 제대로 공부하고, 이해가 안 됐던 포인트를 메모해 둔 뒤
나중에 그 부분을 토대로 빠르게 복습하는 것이 좋겠죠.
저같은 경우는 현역때 5개년 지문을 전부 이해하며 공부했고,
나중에는 헷갈렸던 지문, 이해가 잘 안됐던 지문들만 복습했던 것 같아요.
이런 '완전한 이해'를 혼자 하기가 힘들고,
학생 혼자 공부하다보면 자기가 제대로 하는지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에
올바른 국어 비문학 독학을 돕기 위해 '만점의 생각'을 집필했습니다.
제 책을 보시면 확실히 국어 공부에 방향성을 찾으시리라 생각하지만,
하단에 제가 링크를 달아놓은 칼럼 글들만 쭉 읽어보셔도
독학을 하는 법에 대해 감을 잡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는 '기출 분석하는 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글을 들고 오겠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해주시면 더 좋은 글들 보실 수 있을 거예요 ㅎㅎ
국어 EBS 수특/수완 활용법 https://orbi.kr/00036928042
21 기출 분석서 https://orbi.kr/00033213293
19 수능 31번 맞추는 법 https://orbi.kr/00032755321
국어에서 그래프 나오면 생각할 것 https://orbi.kr/00032704180
21 9평 '헤아릴' 해설 https://orbi.kr/00032261940
비문학 어휘 기출 모음 https://orbi.kr/00031872184
9평 만흥 38번 '관념적' 해설 https://orbi.kr/00032237314
문학 개념어 교재 https://orbi.kr/00032190440
문학 개념어 '대화체'? https://orbi.kr/00031713659
21 6평 산상의 노래 해설 https://orbi.kr/00031271872
19 9평 STM 문제 해설 분석 https://orbi.kr/00030201635
거시독해란 이런 것 https://orbi.kr/00031467438
고대의 문학 기출 https://orbi.kr/00036193231
만점의 생각 구매 링크 https://atom.ac/books/8179
0 XDK (+110)
-
100
-
10
-
이명학 신택스 들었는데 션티 빈칸 현강 들어도 될까요? 도움 될까요 ? 아니면 오히려 역효과 날까요
-
여기에 선민의식 있는 애들, 디씨화 완료된 애들 그래도 입시 일을 아직 하던...
-
코노 호시노 이마사에 누케다시테 마시타 시다이니 치사쿠테 키에타 키미노 이타 마치다...
-
빨더텅샀다 0
아침마다 풀어볼 것 자기객관화 드가자~~
-
아니 50시간에 7만원이면, 2시간씩 가는게 이득아님??? 2
스카 50시간에 7만완인곳이있던데 이정도면 걍 2시간(3000원)권으로 가고...
-
흐음 0
주말아 가지마..
-
제약학과 약학과 2
차이가 뭐임? 둘다 약사 만허 딸 수 있으면 왜 나눈거지
-
정체 교환할사람 4
뻥임
-
갑자기궁금해짐
-
레트로 바이러스
-
3-4칸이였던것들 다 최초합이엿네
-
우리나라의 미래는 밝네요 좋은 글 많이 써주심
-
여기 다 문과식 반영비인가요? 글융은 인공지능 같은거 전공이던데 별도 통합으로 하는지요?
-
가스가스가스 4
2개 구령 실시!!
-
그거 어케 함
-
일주일째 고민중이다 일주일째 집밖에 안나가는건 아님
-
언매 노베 재수생입니다. 지금 유대종 언매총론을 듣고 있는 상태인데 아직 언매가...
-
언미 과2 , 언미 사2 뭐가 더 유리할까요??? 사2로 마음 굳히고 있었는데 사탐...
-
고대 교과전형 예비1번 점공 상 위에 1지망 서울대 인문 지균 394.9 2지망...
-
부모님이랑 마트 왔는데 12
옆에 있는 한 130kg 정도 돼보이시는 목에 빅맥 낀 목소리를 지닌 여성분이...
-
문과 5수 2
모종의 이유로 학교를 옮기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고민입니다. 3-1까지 마쳤고 23...
-
20대중반 직업반출신 고졸임 좃소 뺑이치면서 주경야독으로 3개월 하다가 공부 은근...
-
메디컬 의대 420.8 최초합 (420.6 불합) 치대 416.1 최초합...
-
살짝 이거 돈벌이 될거같은데
-
아오 진짜 4
-
왜 탐구 25회 밖에 없지
-
무수히 빛나는 뱃지들을 보고 하염없이 작아진당
-
현역이라서 최저 맞추고 정시도 신경써야 함. 근데 국어랑 탐구는 모고에서 매번...
-
크레페 으히히 15
맛잇다
-
누군 미적 시작한지 3달만에 월례고사 100 띄우던데 막 경제 서바도 10분 남기고...
-
대충 요약하자면 ”메가패스 오늘까지만 이가격 !!”, ”메가패스 곧있으면 진짜...
-
쪼인이 뭔 뜻이냐
-
머지 몇번을 보내도 씹히네 딴사람들 빨리받던데
-
진짜 모름
-
선착순 1명 5
쪽지.
-
짝수서바말고 전과목 실전느낌안들엇어
-
면접관이 원하는 답도 면접관마다 다 다르지 않나? 그리고 모든 면접관이 오직 논리가...
-
스카이 공대생들 이탈률 보면 대학에서 질려버려서 정시40%룰 폐지하자고 난리...
-
경영관 미쳤다 6
흐억
-
작년에 여기 11
귀여운 사람들 많앗는데 다 탈릅한건가.. 돌아오라구
-
올해 혹시나 휴학하면 19
인방을 가볍게 해볼까 생각중임 버튜버는 좀 힘들거같고
-
수1해야겟다 8
수1 수1
-
밖에 나가고싶구나 근데 갈데가 딱히 없음
-
어떻게 지금 팀에 희망이 서폿..
-
백호 섬개완 완강 후 무엇을 해야할까요? 섬개완 강의와 함께 백호 기본기출과 완자 기출픽 풀었습니다
-
제가 게임은 안해봤는데 스토리는 슬프더라구요..
-
쩝 하긴..
-
배속으로 모든 문제 다 보고 있는데 시간낭비는 아니겠죠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30.gif)
요즘 느끼는건데 국어공부에서 생각이라는 걸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도 어려운과제인거같네요공감합니다
제발 저렇게 공부해주세요
이 책 보면은 비문학 공부랑 기출분석을 어떻게 하는지 알 수 있나요?
넵 혼자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향을 잡아주는 기출분석서입니다
국어 원래 잘하셨나요? 아니면 고3때 올리신건가요?
고3때 엄청 올렸습니당
지문 읽으실때 지문내용이해와 더불어 구조도 같이생각하시나요? 예로들면 비교대조나 분류나열등등.. 오히려이런부분에 신경쓰다보니 정작 내용이 안들어올때가 있어서용
구조도는 이해를 위한 도구 중 하나고, 꼭 필요한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당
쪽지확인가능할까여ㅎ
교육과정 개편된 작년시험부터의 경향성이 반영된 릿밋딧피셋지문 선별해서 만점의 생각 후속편 쓰실생각 없으신가요?
선댓글 후정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