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것이 「문학」이니까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38184615
일단 칼럼은 좋아요 박고 시작하자
전 칼럼은 먼저 정독했겠지 다들?
포브스 선정 문학 가장 쉽게 푸는 법 1위
전 편이랑 이어지는 내용이니
꼭 읽고 오길 바란다.
---
전 칼럼에서는
문학 문제풀이를 할 때
<주제와의 관련성>을 활용하라는 말을 했다.
하지만 모든 문학 문제가
<주제와의 관련성>만으로 완벽하게 풀리는 건 아니다.
<주제와의 관련성>만으로
안 풀리는 문제는
또 다른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바론 <여지의 존재성> 판단이다.
---
가끔 문학 문제를 풀다 보면
진짜 애매한 문제가 나올 때가 있다.
이런 문제들의 특징은
해설을 읽어보고
강의를 들어봐도
잘 납득이 가질 않는다는 거다.
더군다나 그게
남들은 다 쉽게 푼 문제라면?
그래서 국어에서 가장 어려운 건 독서지만
가장 빡치는 건 문학이다
내가 왜 틀린지
그게 왜 정답인지
명확하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왜??
대체 왜 문학은 독서처럼 답이 명확하지 않을까??
독서는 선지의 근거가 명확하다.
지문에서는 한 사이클마다 DNA가 2배된다고 했다.
그럼 당연히 선지의 말대로
처음의 2배가 될 때나 4배에서 8배가 될 때나
시간은 같을 거다. (사이클 한 번 도는 시간)
이처럼
독서는 근거를 찾기만 하면 선지 판단이 명백해진다.
(독서에서 선지와 지문을 연결하는 방법은? → https://orbi.kr/00037900271)
그런데 문학은?
③은 적절한가?
적절하다고 생각했는가?
적절하다면 그 이유는?
맑고 푸른 하늘이 유년의 화자에게 순간적 감동을 느끼게 했다는 걸
논리적으로 설명해보아라.
명시적인 근거가 있는가?
눈 씻고 찾아봐도 명시적 근거가 없다.
그런데 평가원은 ③를 적절한 선지라고 한다.
이상하지 않은가?
국가 공인 시험 중 가장 최대 규모의 시험인 대수능에서
명확한 근거도 없이 선지를 적절하다고 하다니
문학은 본래
'다양한 감상과 해석이 가능하다'는 예술의 영역일 텐데,
둘 중 하나만 맞다고 답변을 내놓는 게 과연 올바른 걸까?
그런데
.
.
.
.
.
.
“다양한 해석과 감상이 존중되어야 한다”
이 말은 거꾸로 말해서
어떤 해석도 함부로 ‘틀렸다’고 말할 수 없다
는 뜻이기도 하다
똑같은 문학 작품을 읽고도
누구는 ‘엄청 슬프다’고 말하는 반면
누구는 ‘엄청 슬프진 않았다’고 말한다.
누구는 ‘감동적이다’고 말하는 반면
누구는 ‘그 정돈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렇다고 이 중 누군가가 틀린 걸까?
아니다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거다.
각자의 해석과 감상을 말했을 뿐이니까
그리고...
그것이‘문학’이니까
뭐, 뭐, 뭐
뭐라고?
그것이‘문학’이니까
‘문학’은 다양한 해석과 감상이 존중되어야 하니까.
다양한 해석과 감상을 존중해주는 것.
여기에
문학 문제풀이의 비밀이 있다.
다시 위 문제를 살펴보자.
‘< 아, >라고 감탄하잖아. 하늘 보고 감동했으니까 그러겠지.
유년의 화자는 푸른 하늘을 보고 순간적으로 감동을 느꼈을 거야’
위 해석이 틀렸다고 단언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선지는 적절하다.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든, 이 해석은
다른 거지, 틀린 게 아니니까.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는 거니까
그리고 그것이...
그것이‘문학’이니까
그런데 문학을 못하는 학생들은 이걸 이해하지 못한다.
다양한 해석 중 자기 생각만이 맞다고 주장한다.
“아니 저는 순간적 감동이 안 느껴지는데 어쩌라구욧!!!!!!”
응.. 근데..
애초에 당신의 감상과 해석은 출제자의 관심사가 아니다.
당신의 생각과 관계없이
이 작품을 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을까?
를 묻고 있는 것이다.
ok???
.
.
.
.
.
말은 쉽지
그럼 모든 선지가 웬만하면 다 맞다는 거잖아
틀린 선지는 어떻게 골라?
그렇다. 웬만하면 모든 해석은 존중된다.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는 거니까.
‘웬만하면’
위 사진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상큼하다.
② 얻어터질 것 같다.
③ 초록색 배경의 색채가 강조되어 있다.
④ 셔츠가 터질 것 같다.
⑤ 아이유 노래 좋다.
답은?
답은 당연히 ⑤다.
위 사진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상큼하다.
② 얻어터질 것 같다.
③ 초록색 배경의 색채가 강조되어 있다.
④ 셔츠가 터질 것 같다.
⑤ 아이유 노래 좋다.
왜?
①②③④는 다 사진에 대한 해석이다.
다시 말해, 그렇게 해석할 ‘여지’가 사진에 있다.
따라서 적절한 선지가 된다.
당신이 그렇게 생각하는 거랑 상관없이.
그런데 ⑤는?
⑤ 혼자 사진과 관련 없는 얘기를 하고 있다.
즉, 사진에 <아이유 노래 좋다>고
해석할 여지가 전혀 없다.
이게 바로 처음에 언급한
<여지의 존재성> 판단이다.
지문에서 A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
이에 대한 해석인 A′는
틀린 해석이라 할 수 없다.
A’라고 해석할 여지인 A가 지문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해석이다.
그럼 적용해보자.
<해석의 여지>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해보자.
21학년도 6모 오답률(45%) 2위에 랭크된
전우치전 문제이다.
①⑤는 쉬우니까 패스하고,
②③④만 풀어보자.
아래 지문 다 안 읽고 ㉡㉢㉣만 봐도 충분하다.
안 풀고 보면 바보.
학생들이 많이 낚인 선지는 ②나 ③이었는데
학생들이 틀린 이유를 살펴보면,
“전우치가 거울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강조하려면
전우치의 눈동자를 거울에 비춰 보여줘야 하는 거 아님?“
“왕의 당혹감을 표현하려면
왕의 당황한 얼굴을 보여줘야 하는 거 아님?“
라는 생각들을 한 거다.
그런데..
물론
이 또한 ‘틀린’ 의견은 아니다.
‘다른’ 의견일 뿐이니까.
그러나
전우치의 얼굴을 보이건
거울의 모습을 보이건
거울에 비친 전우치를 보이건
왕의 얼굴을 보이건
허수아비를 보이건
허수아비를 보이고 왕의 얼굴을 보이건
뭘하건 상관없다.
어차피 다 그렇게 생각할 <여지>가 모두 있으니까.
그런데 ④를 보자.
???
전우치가 지금
비바람을 다스리고
축지법을 쓰는 게
다 각각 다른 장소(=여러 공간)라고 <생각할 여지>가 있나?
단 한 글자라도 그럴 여지가 있나?
만약 그럴 여지가 있으려면 지문에 적어도
‘동쪽에서는 비가 내리고
서족에서는 바람이 불고
남쪽를 향해 축지법을 쓰고 돌아 온다’
는 식으로 쓰여 있었어야 했다.
근데 그게 아니잖아.
마치 마동석 사진을 보고
‘아이유 노래 좋다’고 해석한 것만큼이나
지문에 여지가 없는 해석이다.
고로 ④는 적절하지 않다.
---
이런 식으로 여지의 존재 여부를 생각하다 보면
우리는 이제
문학 선지를 훨씬 쉽게 ‘번역’할 수 있다.
위 선지를 풀기 위해서 판단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인간의 삶과 공간의 의미가 연결되는지 확인하기?
그게 주제의식을 구체화됐는지 확인하기?
NO!!
지문에 ‘인간의 삶’과 ‘공간’이 등장했는지만 확인하면 된다.
WHY??
'인간의 삶'과 '공간'이 지문에 등장했다면
그게 '그렇게 해석할 여지'로 작용할 테니까
그것이‘문학’이니까
위 선지를 풀기 위해서 판단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어렵지 않다.
‘나래 떨던 샛별’과 ‘향기로운 싸릿순’이
화자의 지향점이라고 해석할 만한 <여지>가 지문에 쓰여 있는지만
따지면 된다.
그러나 시에 화자가
‘나래 떨던 샛별’, ‘향기로운 싸릿순’을 지향한다고 해석할만한 여지는 전혀 없다.
오히려
‘나래 떨던 샛별이 숨는 것’
‘향기로운 싸릿순을 사양하는 것’을
지향한다고 해석할 여지가 훨씬 충분하다.
고로 틀린 선지가 된다.
이런 식으로 명시적 근거가 아닌
해석의 여지에 집중하여 선지를 판단하면
문학도 다른 영역처럼 정답이 명쾌해질 수 있다!!
여하튼,
3줄 요약
1. 주제와의 관련성으로 안 풀리면
2. 지문에 '해석의 여지'가 한 글자라도 있는지 살펴라
3. '여지'가 한 글자라도 있어야 적절한 해석이다
+그런데 이렇게 해도 애매한 문제는?
이런 문제는 진짜 드물긴 한데 이럴 땐
마지막 3번째 판단 기준을 사용한다.
이것도 기회가 되면 칼럼 써봄
1짤 요약
그것이 ‘문학’이니까
---
지난번에 이어 문학 칼럼 2편으로 돌아온 유성입니다.
원래 격주에 하나 쓰려 했는데 저번 칼럼 반응이 너무 좋아
감사의 차원으로 열심히 써봤습니다.
이 글도 반응이 좋다면 더 좋은 국어 칼럼 많이 써보겠습니다!!!
칼럼으로 써줬으면 하는 주제, 국어 공부법 질문 등은 언제나 환영이구요
좋아요와 팔로우는 더 환영입니다!!
0 XDK (+320,610)
-
320,000
-
100
-
500
-
10
-
글쿠만
-
깨끗이 핥아먹도록 시키고 싶다
-
꼬실자신잇긴함(눈물을흘리며)
-
일어나서 씻고 집청소 설거지 닭가슴살 돌리고 밥이랑 냠냠하고 헬스장감 ㅇ
-
걍 존잘존예들이 2
오르비에서 십덕프사달고 히히오줌발싸 이러는데 심지어 대학은 인서울 명문대고 ㅈㄴ 인지부조화오네
-
게이는 아닌데 8
귀여운 남자 (미소년 스타일) 보면 껴안고 싶은 거 정상임?
-
접점이 없어
-
얘드라 잘자 6
우우웅
-
생명고정1분들 2
엄청 조건적으로 외워야 할 케이스까지 다 외우심? 아니면핵심케이스만외우고 그걸로 추론하는식으로푸심?
-
난 내가 쓴 사진 리뷰 미용실에서 내린적 있어서 이제 다신 그 쌤한테 안 받음
-
끝까지 보셈 ㅋㅋ
-
들어갈 거임?
-
옵붕이들 가슴에 상처주기
-
확실히 일트더할사람들 지금시즌에 뭐라도 하나는 시작하네요 4
정신 상태 ㄱㅊ으면 일찍할수록 좋긴하져
-
이거로 2026 강기분 강의 들어도 되나요?
-
써니같은여친기원 6
-
숯불고기 추가하면 5천원추가금잇는데 넣을지말지고민이댄다
-
김승리 tim 0
tim들을까말까 고민중인대 작년 tim 몇달정도했나요? 한달정도였나요 네이버에 쳐봐도 안나와서요
-
아요
-
넌 의대가라.. 10
넵!!
-
근데 ‘거의’에 속하지 않는 옵붕이가 있음
-
의심되면 7ㅐ추 ㅋㅋㅋ
-
경제뉴비들박해줘 6
헤으윽
-
일단 (오후)8시쯤에일어나서 밥묵고 밤새 스듀나 오르비하거나 알바함 새벽5시쯤되면...
-
ㅇㅈ 10
-
진짜개귀여움
-
독서 커리는 강기분을 이미 사버려서 해야하는데 인강 공부가 잘 안맞는거 같아서...
-
ㅈㄱㄴ
-
사실 그저께 함 어제도 했음 사실 오늘도 함
-
어차피 안 갈아입으니까 옷을 많이 안 챙겨도됨 ㅋㅋㅋ
-
ㅇㅈ 9
인중 긴 모아이
-
야식땡길때 녹차 1리터정도마시면 식욕 싸악 사라지더라
-
영단어 질문 1
Landscape 뜻에 시력 시야 광경이란 뜻도 있었나요? 오타 아닌가요?
-
ㄹㅇ 어디감? 저저번주에 한 번 올라오고 안 올라온 거 ㅠ같은데 맞나?
-
내 뱃지 2
엉엉 뱃지 받으려고 대학 가는데
-
ㅇㅈ 31
-
인증반응 16
어떨 땐 긁지않은복권 어떨 땐 의대가라 후자가맞말이겠죠?
-
제 앞에 657.9 이 사람 빠질 수 있나요..?
-
썸타고싶다ㅏ 6
그립다 풋풋함이
-
진학사 점수 0
진학사 지원 대학 점수 다시 볼수있어요?
-
처음엔 적색거성 백색왜성 말하는줄 알았는데
-
입시 관심 없는 사람한테 보여주면 진짜라고 속을 수도 있겠는데… 학과 찾아 보지...
-
??
전우치전 21학년도 아닌가염??
앗 감삼다
따봉 박고 시작합니다 중간에 평가원은 2를 적절한 선지라 한다에서 2가 아니라 3아닌가요?
감사합니다ㅎㅎ 수정해쓰요
ㅋㅋㅋㅋㅋ시리즈로 써볼까 해요
와 문학에 대해 계속 찜찜하던게 이 칼럼에서 완전히 해소가 됐네;; 감사합니다
와 칼럼 너무 재밌네요 ㅋㅋ 감사합니다
그것이 [문학]이니까
진짜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를 풀 때 그런 식으로 접근해도 감은 안 오네요...
그렇게 공부하고 느낀다면 성적이야 금방 오를 수 있겠죠? 전 독서보다 문학을 못하다보니...
칼럼 내용을 의심하면서 기출분석을 해보세요. 진짜 적절한 해석은 지문에 여지가 있고 적절하지 않은 건 지문에 여지가 없어? 하면서요. 특히 본인이 틀린 문제에서 더더요. 본문 3줄요약에 적었듯 2가지 기준이 다는 아니지만 효과를 얻어가실 수 있을 거예요!
독서에서 선지와 지문을 연결하는 방법은? → https://orbi.kr/00037900271) 요거 링크가 오류가 뜹니다...
오잉 왜지
[유성] 선지 판단을 도와줄 기본 추론 규칙 훈련 (+풀문 공지)
제 전 게시글이나 검색창에 이거 검색하시면 뜰 거예요!!
감사합니다!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15.gif)
??: "공감"하십쇼백점..,.백점이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재미도 있고 내용도 알차네요 야무진 칼럼ㅋㅋ요새 문학 풀면서 투명도 50%로 느끼던 생각을 명확하게 정리해 주셨네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진짜 명쾌하네요 저번 칼럼 주제와 관련성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되게 윾쾌하게 쓰셨지만... 문학의 본질을 꿰뚫는 칼럼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독서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아 진짜 재밌고 도움되네요 ㅋㅋㅋㅋ
아이유 노래 좋네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2.png)
쓸모있는 글에는 덕코 따위 전혀 아깝지 않습니다이거 완전 훈련도감느낌칼럼이네요
저 궁금한게 작년에 전우치 45번 풀때 시험장에서 저는 동시에라는 것에서 연속적이 맞다 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답을 고르고 넘어갔는데 이 해석은 잘못된 것인가요?
실전에서는 결국 답을 맞혔으니 올바른 판단입니다. 저도 실제로 동시에? 좀 애매한데? 여러 공간? 확실히 아니네! 이런 사고였고든요.
하지만 사후적으로 '동시에'만 놓고 보면 역시 애매한 감이 있습니다. 결국 바람이 부는 상태에서 비가 오고, 비바람이 치는 도중에 축지법을 쓴다면 결국 비&바람&축지법이 동시에 벌어진다고 볼 수도 있으니까요! 물론 실제 영화에서는 순서대로 벌어졌습니다. 이대로라면 동시에도 틀린 내용이죠.
결: 실전에서 맞혔음 댄거다. 그러나 여러 공간이 더 확실한 근거였다는 점은 알고가자!
아아 답변 감사합니다!
진짜 재밌게 잘 쓰시네요. 문학 출제 영역에 대해 정말 잘 이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혹시 강사나 교사이신가요?
정말 감사합니다. 전우치 문제 2번 찍고 틀렸는데 4번 대충읽은건 둘째 치고 '아니...전우치가 거울에 관심이 있으면 거울을 비춰야 하는거 아님??????' 이라고 생각하며 혼자 씩씩거렸던게 기억이 나네요. 덕분에 해결되지 않던 문학의 애매함이 꽤나 사라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지에서 '-하여', '-하면서' 같이 지문에 나와 있는 부분과 선지의 판단이 서로 인과관계가 있는지는 보지 않아도 돼요?
아뇨 아예 안 보는 건 위험합니다. 실제 기출에서 그게 답의 근거가 된적도 있구요. 다만 저는 우선순위로 보진 않습니다
그럼 A가 지문에 있는지만 판단해 보고, 그 다음에 그것만으로 선지가 판단이 안 되면 그 다음에 인과관계를 봐야 한다는 거네요
문학에서도 선지를 판단할 때 우선순위가 있다는 거죠?
1. 주제 의식과 유사성
2. 해석할 여지가 있는지
3. 실제로 A(지문에 있는 부분) 때문에 B(선지의 해석)로 해석할 수 있는지
네네 그런 식으로 판단하셔도 되구요! 다만 저는 2와3은 완전히 구별하여 판단하진 않습니다. 1을 먼저 보고 2와 3을 동시에 보죠. 결국 여지가 지문에 있는지 판단하는 거죠. 3단계는 따로 있는데 이건 시간 나면 또 쓰겠습니다.
진짜 납득되고 실전적이고 도움되네요
돈내고 들을 걸 공짜로...
감사합니다
와 진짜 ㅈ되네
와..
3단계는 어디에 있나요? 알려주세요!!
제가 몇몇 칼럼은 지우기도 해서요 ㅠㅠ 제 내역에 없으면 아마 삭제했을 듯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관련 칼럼 쓰겠습니다!
유튜브에서 일직선 판단 강의는 무료라고 하시는데 온라인으로 들을 수 있나요?
지난 3월에 무료로 진행했었구요! 녹화강의는 닫힌 상태입니다 ㅠ 6모 해강 직후에 아마 제커리 신규 유입생에게도 줄겸 오르비에 무료로 뿌릴 예정이니 이 자료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