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칼럼 쓰기 tip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61683649
안녕하세요. 코딩하는 알로스 입니다!
이번엔 이전에 올렸던 칼럼들과는 다른 특별한 칼럼을 가지고 와봤습니다.
바로 오르비에서 칼럼 쓸 때의 꿀 tip 인데요,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오르비에서 쓰이는 칼럼이 어떤 것인지 짚고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의 칼럼이란,
많은 분들이 아시는 대로 말 그대로 정보를 담은 글입니다.
여기에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의 비율이 높게 들어갈 수도, 낮게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정보를 담은 글이기에, 칼럼의 핵심은 정보 또는 필자의 경험 전달에 있습니다.
이것만 잘 신경 쓴다면 문제 없이 칼럼을 작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이걸 알아도, 막상 어디서부터 어떻게 써야 하며,
어떻게 글을 구성해야 할 지 막막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제가 tip을 몇 가지 들고 왔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tip 1) 칼럼 쓰는 작업에도 순서가 있다
칼럼을 무턱대고 그냥 쓰다 보면 글이 중구난방이 되어,
글의 목적성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칼럼도 엄연한 '글'이기 때문에, 칼럼을 쓰는 작업에도 순서가 있습니다.
마치 건물을 지을 때 처음에 틀을 먼저 세우고,
시멘트와 건물에 각종 필요한 자재를 넣고, 인테리어를 마지막에 꾸미는 순서가 있듯 말입니다!
그래서 순서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리려 합니다.
(칼럼 맨 밑에 별첨 자료로 사진을 추가하여 확실한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step 1. 칼럼에 들어갈 내용을 문단으로 묶은 후, 각 문단의 제목 및 순서 정하기
칼럼의 내용에도 카테고리가 존재합니다.
카테고리 별로 칼럼의 내용을 묶은 후, 각 묶음(문단)에 제목을 붙입니다.
그리고 문단들의 순서를 정하면 칼럼의 큰 틀은 완성된 겁니다.
step 2. 각 문단의 소문단 정리하기 (존재 시)
공통된 내용을 하나로 묶어 문단으로 만들더라도,
해당 문단 안에도 내용이 작은 카테고리 별로 나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나눈 후 해당 내용들을 소문단 으로 생성하고 순서를 구성하는 것이죠.
해당 소문단들은 단순 분류의 대상이 될 수도 있고,
지금 이 글의 tip 1) 문단의 step 들 처럼 고정된 순서 나열의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작업이 끝나고 나면 큰 틀 안의 작은 틀이 완성된 것입니다.
step 3. 각 문단 제목에 맞게 내용 작성 및 살 추가
칼럼의 틀이 모두 완성되었으니, 남은 필수 작업은 내용 추가입니다.
완성된 건물의 틀에 시멘트와 건물에 필요한 각종 자재를 추가하는 것과 비슷한 작업입니다.
각 문단의 제목과 정한 내용에 맞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작성하면 됩니다.
여기서 '살 추가' 라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니고, 글 곳곳에 적절한 꾸밈을 넣는 것입니다!
건물 건설의 필수 작업을 모두 마치고 인테리어를 꾸미는 것과 같은 작업이죠.
거창할 필요 없습니다. 재밌는 표현이나 짤막한 예시 정도면 충분할 테니까요!
이러한 단계를 거치고 나면, 칼럼이 완성됩니다.
이후에 나올 tip들은 글의 퀄리티를 높여줄 tip 들 입니다!
tip 2) 가독성 높이는 방법
많은 분들이 칼럼을 작성하실 때 신경 쓰게 되는 부분입니다.
바로 가독성입니다.
아무리 내용이 알차게 담긴 글이라고 해도,
읽기가 어려운 글이면 글에 담긴 내용이 잘 전달되지 못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tip 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글 간격부터 다르게 하면 가독성이 대폭 상승합니다.
글의 간격을 문단과 내용에 따라 부등호로 표시하면 이렇습니다!
서로 다른 문단 간의 간격 > 문단 내의 다른 소문단 간의 간격 > 문장 간의 간격
큰 문단 간의 간격을 가장 크게 만들고,
문단 내의 다른 소문단 간의 간격을 그 다음으로 크게 만들고,
문장 간의 간격은 줄 구분 정도로 가장 작게 만드는 것입니다.
저의 경우는 글을 쓸 때 큰 문단 간의 간격은 5-6 줄 정도 띄어서 쓰고,
소문단 간의 간격은 2-3 줄 정도,
문장 간의 간격은 너무 지저분하다 싶을 때 최대 1 줄 정도로 띄어 씁니다.
그리고 이렇게 줄 간격을 모두 조절하고 나면,
문단/소문단의 제목은 글씨를 키우거나 굵게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본문에서 보시다시피, 저의 경우는 큰 문단 제목일 때 글씨를 크고 굵게 만들며,
소문단 제목일 때 큰 문단의 제목과의 차별을 위해서 크기는 그대로 하되 굵기만 굵게 만듭니다.
이렇게 작업을 하고 나면, 한눈에 글의 내용을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즉, 가독성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tip 3) 내용 전달의 +a, '강조'
이는 필수 부분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내용 전달에 도움이 되는 tip 입니다.
글의 내용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방법입니다.
이건 덤으로 드리는 tip 인만큼, 방법도 간단합니다.
강조하고자 하는 특정 단어나 문장의 두께를 굵게 하고 색깔을 다르게 하면 자연스레 강조가 됩니다.
예시를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강조 X>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자랑과 힘이 되는 곳, 서강대학교 입니다.'
<강조 O>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자랑과 힘이 되는 곳, 서강대학교 입니다.'
이렇게 강조의 여부에 따라 특정 단어의 눈에 띄는 정도가 다릅니다.
물론 문단/소문단의 제목과 헷갈리지 않게 신경 쓰는 것도 조금 필요하겠죠!
또한 강조를 할 때, 강조하고자 하는 내용에 사진/이미지를 첨부하는 것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글을 읽을 때 눈을 심심하지 않게 하거든요!
마치 이 글의 처음에 관련 이미지를 넣을 것처럼 말이죠.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이렇게! 칼럼을 쓸 때의 tip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칼럼을 어떻게 쓰는 지에 대한 질문이 가끔 들어와서 이렇게 칼럼으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별첨 자료 - 칼럼 쓰기 전 내용 구상)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뺏으면 자살할거임 ㅅㄱ
-
취침 0
-
술 깸 1
달릴까
-
귀여우면 좋아요도 눌러 주시구….
-
반갑습니다. 8
반갑습니다.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게쳐먹는중
-
난 좀 아쉬워 2
좀 더 진보된 세상에서 모두가 행복한 그런 시기에 태어날 순 없었나...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
연애를안해봐서모르겠네
-
찾음 ㅋㅋ내가 잘못한것도 있는데 하도 떳떳해서 허두슴이나옴
-
도살장에서 도축을 기더리는 유기체도 아니도 사유하지 못하는 미물도 아니고 나름...
-
그 나름대로 성공한 인생이 아닐까 생각함 회피형 만나지 마셈
-
플라톤의 정치사상을 옹호하게 됨 자꾸
-
막 새로운 세계로 나가서 다른 사람들이랑 생활하고 그런게 도전적이고 즐겁대 그게...
-
응… 그렇게 살자
-
응애
-
뱃지안줄거면 0
왜 안주는지 말이라도 해줘 ㅅ1ㅂ
-
3점짜리 자작 3
-
예나 지금이나 6
무민은 귀엽다
-
결국 크렌베리는 3
다시 냉장고로..
-
지금 죽어도 상관없긴혀 미래가 막 설레거나 하지 않음
-
홍대 성수 한남 강남 광화문 서울핫플에서 한번씩 다 거주해보고싶구나..
-
왜태어난지 모르겠음 그건 사실이야
-
자러갈게 6
나없어도 행복해야해
-
751~750 예측하시네요 750.48 마음 비우고 있으려구요
-
병신겜임 걍 하지마셈 고이고 고여서 그 위로 ㄹㅇ 심연임
-
재미있는 사실 5
여러분이 이런 문제를 마주했다고 해보자. 아마 처음 보면 대부분 어떻게 해야 할지...
-
그냥 삶의 의지가 고갈되는 느낌 뭘해도 안되는데 굳이 살아봐야 뭐하나 이런 느낌임
-
현역인데 지금 과탐 생1 지1 볼려고 했는데 고2때 공부를 안해서 생명 유전은 절대...
-
계정파서 1-30레벨까지 한챔프로만 하면 숙련도 늘어남 그렇게 계정 한 50개...
-
식단중인데 3
노랑통닭 할인해서 만원에 팔길래 시켜버림..
-
마약한느낌 모고 시험지 보니까 급 생각나네
-
자지마요 16
그것도 마요네즈랑 먹어요??
-
냉장고에 건조크렌베리 12
2021년까지인 거 있는데 먹어도됨? 사실 이미 한 10개 먹음
-
지금 배고파서 라면먹어야 되는데 10시부터 생각만하고 오르비하고 있음
-
님들 진짜 자퇴하지마셈 14
저 진짜 자퇴하고 학교에 소문 쫙 퍼져서 무슨 중학교 동창들도 나 자퇴한거 알더라...
-
맘에 쏙 드는 게 없네
-
성공
-
나 이미지써죠... 10
우웅써죠,,,,
-
줄여서 운지. 능력은 중력마술 강화
-
자야지 5
ㅂㅂ
-
실패
-
학교쌤이 4
이쁘면 어캄?
-
차라리 유튜브 중독이 나은듯 걔는 그래도 보다가 중간에 자기라도 하지
-
ㅈㄱㄴ
-
한낱 양아치 새끼들은 나이값도 못하면서 병신같이 살고 나랑 1등 옥신각신 하던애는...
-
다들 아시는 것처럼 2.2%의 전공의만이 복귀한 상황인데요내가 돌아간다고 해도 내...
-
24학년도 현역 당시 수능 준비 당시 뉴런 강의 시청을 하고 내용부분만 필기를...
-
처음 버거킹에서 후라이 볼때는 주문 6개정도만 쌓여있어도 병목현상 걸려서 어리바리...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칼럼을 쓰는것에 대한 칼럼문제를 푸는 문제
자동화를 자동화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033.png)
무한의 칼럼 ㅎㄷㄷ언젠가 활용할 날이 있을까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34.gif)
칼럼을 쓰실 일이 분명 있을지도요 ㅎㅎ어멋 덕코 감사욤!
떳다 내 야설쓰는법!
낮에 올린 칼럼 묻혀서 슬펐는데 고쳐서 다시 올려야겠네요..
화이팅입니다..!!
근데 사실 낮에는 오히려 접속한 분들이 적어서 그런 걸수도 있어요!
링크 복사해서 올려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당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14.gif)
칼럼 장인 ㄷㄷ칼럼 쓰기에 대한 칼럼… 메타인지적인 칼럼이네요 ㄷㄷ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15.gif)
무한 소급의 문제와 메타인지가 결합된 혼1란스러운 글이죠 히힣헉 마침 칼럼을 써보려고 했는데 정말 유익한 글인것 같습니다...! 칼럼 쓰면 많이 봐주실까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_animated/009.gif)
넵 당연하죠! 감사합니다 ㅎㅎ쌤 제 글 칼럼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방금 호랑수월가 님이 쓰신 글 보고 왔습니다!
네네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쓴 글이고, 문단마다 내용을 넣어 쓰셨으니 칼럼이라고 할 수 있죠!
보완해야 할 점 있을까요?
솔직히 목표는 제가 나중에 봤을때 안 까먹게 정리하는 것이긴 한데
모두가 공유하면 좋은거니까요 ㅎㅎ
아 저도 묻혀서 슬퍼요 ㅠㅠ
내용 진짜 좋은데 ㅠㅠ
음 그동안 써오셨던 칼럼들이 내용상으로 짤막하게 나올 수 밖에 없어서, 구성엔 딱히 문제가 없는 거 같습니다!
근데 강조할 만한 부분의 글씨체를 두껍게 하거나 다른 색을 입혔으면 더 좋았을 거 같아요!
(물론 칼럼의 길이가 길어서 내용이 알차면 다른 분들이 더 많이 도움 된다고 하시긴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