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점박이 모의고사 QnA/피드백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6636670
(1.3M)
[911]
점박이 모의고사 지구과학1 문제지.pdf
(17.8K)
[535]
점박이 모의고사 지구과학1 정답표.pdf
(65.8K)
[299]
점박이 모의고사 지구과학1 해설지.pdf
먼저 부족한 저희의 모의고사를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0명만 봐주셔도 정말 감지덕지였는데 50명을 넘는 분들이 응시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모의고사를 만들면서 저희도 공부를 했지만
이런 것도 알아 두면 나쁘지 않을 것 같다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위주로 출제하였으므로
새로운 것을 알아간다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0번 문제는 현재는 간략한 설명만 있지만
더 고민해보시고 잠시후에 따로 올려드리겠습니다.
피드백은 다겸관도롱뇽과 아틀레티코가 받을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 사람들 웃겨보겠다고? 컨셉질 많이 했었는데 덕분에 몇번 메인도 가보고...
17번 ㄴ 선지에서 달은 항상 같은면만 보이는거 아닌가요?
3번에 B지역에 그러면 심발 지진은발생하는데 300km까지는 아니라서 틀린 선지가되는건가요
네 맞습니다.^^
네 알겠습니다. 지구과학 만점도 자주나오는편인데 이거 수두룩하게 틀렸네요
4번도 궁금해요 적도반류는 높이차에 의해 생기는 걸로 대략 알고있어서 엘니뇨
시기에는 높이가 차가 적어저서 잘안흐른다고 생각했는데 원리가 무엇인가요..
8번도 우주쓰레기는 대기권에들어 오면 다타버려서 지상에는
피해 못준다고생각했는데 통신인공위성 머이런거가 고장나서
지상생활에 피해를 준다는건가요
12번에 ㄴ은 행성의 인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다는 말은 처음보네요 ㅠ
수특이나 수완에 있는건가요...
12번에 ㄴ 은 기출에 출제된 적도 있고 교과서에 나와있습니다. 교과서에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4번의 적도반류는 상대적인 비교이기 때문에 맞습니다.
8번은 언급하신게 맞습니다
실제로 모든 문제는 교과서와 수능특강 수능완성을 기반으로 만들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
늦게 올려서 죄송합니다. 추후에 20번 문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또한, 저희 부족한 모의고사를 풀어주신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현역이다 보다 친절한 해설지를 작성해주시지 못한 것에 양해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질문들이 올라온 내용에 대해서는 20번 문제와 같이 더 자세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생2 모의고사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5번 보기 전부 해설 부탁드려요~
먼저 죄송합니다.해설지에 깜빡하고 안넣었네요
성층권이 오존층이 있기 때문에 오존의 농도가 높은것 맞습니다. 하지만 성층권 내에서 오존농도가 높다고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이라고 단정지을 수 는 없습니다.
A이온은 염소이온인데 염소이온은 해저화산에서 공급된 것이 맞습니다.
오존구멍은 남반구가 봄철인 9~10월에 커집니다.
수능특강에 나온 내용입니다.^^
피드백 확인좀 부탁드릴게요 ^^
확인했습니다.
20번 태양의 적위는 마이너스가 아닌가요?
네 맞습니다^^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6637051
피드백 확인 부탁드립니다. ^^
좋은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는 좀더 신중을 기하겠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
해설지 문3) 홍해 근역을 충돌형 경계 ▶ 발산형 경계로 바꾸어 주십시오... ^^
죄송합니다 수정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수정했습니다
3번에 B지역에 그러면 심발 지진은발생하는데 300km까지는 아니라서 틀린 선지라고 하셨는데 300km 이상인지 이하인지 어떻게 판단하나요? 출제의도가 궁금합니다
진원깊이가 300km이려면 섭입형 경계여야 합니다. 하지만 B지역은 충돌형 경계이므로 진원깊이가 300km이상 일수 없습니다.
b지역이 충돌형경계인지는 어떻게 아나요? 화살표 해석하기가 어려워요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나므로 충돌형 경계라 할 수 도 있구요
수능완성의 해설지에 나와있습니다.
좀더 확실한 문제를 만들지 못해 죄송합니다
근데 4번의 ㄱ선지에 대해서는 설명을 좀해주세요..
강의내용 -> 문제화를 하신건지 구체적인 사례가 있나요? 제가 찾은 자료는 충분히 동태평양도 수온이 높아질 수 있는것 같아서요 ㅠ
일단 언급하신 자료는 평년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자료입니다.
저희가 의도한 것은 실제적인 서태평양과 동태평양의 비교를 물어본 것입니다.
실제로 한류의 유입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높습니다.
좀더 다양한 자료를 분석해서 확실한 문제를 만들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점 사과드립니다.
민수냐?
AMES ECA 민성이냐?
1번 문제의 화성의 회합주기는 어디에 쓰이는건가요?
1번 문제의 화성의 회합주기는 어디에 쓰이는건가요?
학교 선생님은 도플러 효과문제 에서 별과 행성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별빛의 편이량이 감소한다던데 맞나요?
4번 ㄱ 동탶평양 수온 올라가는게 맞지않나요?
항상 높은건 아니라서 틀린건가요?
수특에 지리산 편마암류라고 나와있던데 왜 안되나요??
염소이온이 해저화산에서 분출한다는 내용이 혹시 연계교재에 있는거라면 나와있는 쪽수 알려주실수잇나요?
16번 ㄱ 인강쌤한테배운바로는 행성의 질량이 커질때 별과인력이강해져서 공전속도가 빨라지고 그로인해 별빛의 의 시선속도가 증가해서 편이량이증가한다고 배웠는데요. 별의 질량이 커져도 같은 일이 일어날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닌가요?
행성의 질량이 커지면 공통질량중심이 행성쪽으로 이동해서 공전궤도가 증가해요 그래서 속도가 빨라지는건데
별의질량이 크면 공통질량중심이 별에 치우쳐서 궤도가 작아지고 그때문에 면적속도가 줄어드는거에요~!반대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