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3] : 수학 시험 운영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71503649
안녕하세요
세 번째 공부 이야기
[3] 수학 시험 운영 방법
-부제 : 우리는 시험장에서 바보가 된다
입니다
수학 실력은 분명히 늘었는데
점수는 그대로라면
이 칼럼이 도움이 되실거에요
1, 2번은 가볍게 읽어주세요
본격적인 방법론은 3번부터니까요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
1. 점수 하락의 매커니즘
모두가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해요
기출을 학습하고, N제를 풀고…
그렇게 열심히 어려운 문제들을 풀어내는 연습을 했지만
정작 시험에서는 킬러급 문항들을 해결하지 못해요
열심히 수학에 집중했다고 생각했는데
시험 점수가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점수 낙폭이 커지면
내가 공부를 잘못 한 게 아닌가 싶고 허탈해요
저도 80점 중반을 벗어나지 못해서
많이 고민했었어요
그래서 그 기분을 잘 안답니다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까요?
열심히 공부해서 실력이 올랐어요
자신감있게 실모를 펼쳐요
그리고 잘 풀어나가다가
예전이라면 포기했을법한 문제의 조건들이
해석되기 시작해요
두근거리는 마음을 가라앉히며 도전하지만
왜인지 풀리지 않고 빙빙 돌아요
시간은 가고, 점점 마음은 급해지고
결국 답을 내지 못하고 시간만 더 버리죠
그리고 급해진 마음에 한두문제 더 실수까지 해주면
짠, 열심히 N제 풀기 전보다 더 낮은 하방이 완성됐네요
2. 아, 풀 수 있었는데!!!
그렇게 망친 시험지를 복습할 때면 꼭 겪는 일이 있죠
분명히 시험 순간에는 미치도록 빙빙 돌던 문제가
시험이 끝난 뒤 다시 쳐다보면 풀리는 것
조건 해석을 실수했거나
성급하게 어떤 사실을 단정지었거나
주어진 기본 전제를 놓치는 등
시험이 끝나고 보이는 것들이 있어요
이런 문제들이 과연
정말 내가 풀 수 없는 문제인 걸까요?
내가 시험지 한 세트의 운영을 말아먹게 만들 만큼
나에게 버거운 문제인 걸까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아요
물론 문제의 겉보기 난이도를 잘못 파악해서
버려야 할 문제에 시간을 쏟는 경우도 있지만
아주 약간만 다르게 생각했다면
해결할 수 있었던 경우가 더 많지요
3. 다회독법_시험지를 장악하는 루틴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고
내 실력에 풀어낼 수 있는 문제들을 놓치지 않고 해결하는 것
그것만 이루어진다면
한 단계 높은 점수대로 도약할 수 있을 거에요
이를 위한 운영 방법은
“다회독법”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좀 극단적인 다회독을 하는 편이고
그 결과 사설 모의고사들에서
안정적인 90점대로 올라설 수 있었어요
제가 문제지 한 세트를 다루는 순서를
왜 그렇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그 이유와 함께 소개해드리며
마무리하도록 할게요
>다회독법의 루틴-1차 풀이
먼저 시험지를 받고 파본 검사를 합니다
그리고 시험이 시작되면
앞에서부터 문제를 풀어나가요
이때 중요한 것은
“단 한 순간도 막히지 않고 풀어나가는 것”
이랍니다
니가 수학을 잘해서 가능한 거 아니냐고요?
아닙니다
저는 100점을 받기 힘든 실력이에요
저보다 훨씬 수학 잘하는 분들도 오르비에 많을거에요
그렇다면 저게 무슨 말일까요?
맞습니다
“막히는 순간 넘겨버린다”라는 의미에요
10번까지는 거의 막힘없이 푸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8번, 9번
심지어는 5번에서 생각이 꼬여도
5초 이상 고민하지 않아요
그대로 넘깁니다
(설마 그런 데서 막히겠냐…하실 수 있지만…
시험지를 펼치는 순간 우리는 생각보다 멍청해집니다
특히 실전이라면요)
11~15구간에서도
그 뒤의 문제들에서도
즉시 파악되는 조건 해석을 해나가다가
“내가 이제 뭘 해야 하는거지?”라던가
“아 이거 계산 이상한데?”라는 느낌으로 펜이 멈추는 순간
주저하지 않고 즉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그렇게 30번까지 모든 문제를 1차로 풀이하는거에요
제 기준으로 이 과정은 30분가량 소요되고
답을 내지 않고 넘긴 문제는 보통 6문제~10문제정도에요
편차가 심한 이유는 시험지 난이도 차이 때문입니다
시험지가 쉽다면, 1차 풀이 시간은 길어지지만
남은 문제 수는 대여섯 문제입니다
반대로 시험지가 어렵게 구성되었다면
1차 풀이 시간은 30분 이내로 짧아지고
남은 문제는 10문제정도까지 늘어나는거에요
여기서 의문이 들 수 있어요
“그렇게 극단적으로 문제를 남겨버리면
남은 시간 내에 풀 수 있나?”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어요
우리에게 남은 건 “생판 모르는 문제 10여개”가 아니에요
조건 해석까지는 했는데 계산이 복잡해서 미룬 문제
정말 쉬운 문제같은데, 순간 헷갈려서 당황한 문제
뭔가 놓친 부분이 있어서 막혀버린 문제
계산 실수해서 답만 못 낸 문제
…
우리 앞에 놓인건
쉬운 문제들이 이미 다 쳐내진 시험지
꽤 여유있게 남은 시험 시간
그리고
이미 윤곽이 파악된 변별 문항들입니다
시험지의 모든 문제를 아는 상태가 되는거에요
>다회독법의 루틴-n차 풀이
그럼 이제 남은 문제들을 붙잡고 마구 풀어나가면 되나요?
아닙니다
남은 문제들을 가지고
다시 다회독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단, 1차 풀이보다는 넘기는 역치를 높이는거에요
1차 풀이에서는 10초만 막혀도 바로 넘겼다면
이제는 고민을 하는거죠
고민해야 할 부분은 문제마다 다를테고요
한 가지 포인트를 잡아야 할 부분은
“문제를 다시 읽어라”랍니다
다회독법을 사용할 때, 이미 파악한 문제라 해서
마구잡이로 풀이부터 시도한다면
이 방법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어요
이 방법의 의의는
마음이 덜 급한 상태에서 문제를 다시 파악할 기회를 얻는 것에 있으니까요
뒤에 어떤 문제들이 기다리고 있을지 전혀 모르는 상태와
이미 시험지의 모든 문제를 만나본 이후의 상태는
심리적인 측면에서 천지차이입니다
부제에서 언급하였듯이 우리는
시험지를 펼치는 순간 상상 이상으로 바보가 돼요
말도 안 되는 계산을 하고
문제에 버젓이 써있는 조건을 놓치거나 잘못 읽고
시험이 끝난 후에 생각해보면 이해할 수 없는 실수들을 해요
당신만 그런 게 아니라 모두 똑같아요
그걸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다회독법을 통해 회독수를 늘린다면
쉬운 문제들은 이미 다 해결되어있는 상태
내가 풀어나가야 할 시험지가 완전히 파악된 상태가 되죠
그러면 적어도 “덜 바보같아질” 수 있어요
높은 점수를 받아내는 사람들은
1차 풀이에서는 놓친 조건을 2차 풀이에서는 발견하고
2차 풀이에서도 잘못 해석한 조건을 3차 풀이에서는 잡아내고
그렇게 점차 시험지를 “완성해나가는”것이지
절대 “한 번에 완벽하게 풀어내는 것”이 아니에요
적어도 저처럼 평범한 사람들은 그렇다고 생각해요
>다회독법의 루틴-검토
그렇게 회독수를 늘리며 점수를 끌어올리다가
시험이 10분에서 15분가량 남았을 때
뭘 해야 할까요?
물론 한 문제를 붙잡고 풀어보는것도 좋지만
그건 실수하지 않을 자신이 있을 때의 이야기죠
저는 검토를 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두세 문제가 남았을 때
검토를 통해 실수 하나를 잡아냈다면
88, 92점이 되었을 점수가
한 문제를 붙잡다가 결국 못 풀거나 틀리고
검토했다면 발견했을 다른 문제의 실수까지 못 잡아내서
80, 84점으로 떨어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니까요
검토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평소에 실모 풀 때는
오르비에다가 자랑할 점수 받아야 하니까
악착같이 점수 따는거에만 집중하다가
갑자기 수능장에서 검토를 한다? 불가능해요
많이 틀려보고, 많이 검토해보다보면
어떤 문제를 우선적으로 검토해야하는지 감이 생겨요
사람마다 많이 실수하는 유형이 다르니까요
자신의 실수 노트, 그리고 왠지모르게 찝찝한 느낌
그런 것들을 기반으로 수능장에서도 검토를 할 수 있도록
평소에 연습하는 것이 좋아요
우리는 대박을 노리고 수능장에 들어가지 않아요
평소에 받던 딱 그 점수에서 많이 떨어지지만 않아도 성공이에요
우리 목표는 “지지 않는 싸움”을 하는 것이니까요
4. 마치며
수학을 정말 잘하고 재능있는 분들은
한 번에 시험지를 쭉 풀어내기도 하더군요
그런데 그건 그들의 이야기고…
평범한 사람이 자기 실력을 시험장에서 발휘하고
고득점을 받아내려면
다회독법만큼 안정적인 방법은 없다고 생각해요
오늘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에요
저는 조만간
국어 관련 이야기로 다시 찾아뵐 생각입니다
좋아요, 팔로우는 큰 동기 부여가 됩니다 :)
[현월의 공부 이야기]
[0] 인사
https://orbi.kr/00070753590/%5B0%5D%20새내기%20칼럼러%20인사드립니다%20:)
[1] 망각과 싸우는 방법
https://orbi.kr/00070764952/칼럼%5B1%5D%20:%20망각과%20싸우는%20방법
[2] 실수와 싸우는 방법
https://orbi.kr/00071091306/칼럼%5B2%5D-:-실수와-싸우는-방법
[3] 수학 시험 운영 방법
https://orbi.kr/00071503649/칼럼%255B3%255D-:-수학-시험-운영-방법
[설문] 국어가 고민이라면
https://orbi.kr/00071617317/국어가-고민이라면…
[4] 수학시험 망하는 위험한 태도
0 XDK (+200)
-
100
-
50
-
50
-
아 저도 취미다운 취미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선생님들께서는 어떤 취미를 가지고 계신가요,,
-
ㅇㄷㄴㅂㅌㅋㅋㅋ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 하나 가능자면 저의 훌륭한 언어 연습 파트너가 될 테니까요 으흐흐흐흐
-
특목고는 특목고인거 감안하는거 맞죠? 저희학교 3점대도 고대가는데 이걸 일반고식으로 보진 않겟죠?
-
우헤헤
-
인사해주세요 10
반가워요 선생님,, 요즘 제가 왜 살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
정자의 심정으로 3
3억마리중 자신이 주인공이 될 확률은 1/3억인데 그렇다고 정자중 포기하는놈들이...
-
20대 후반되어서 인생 커리 계산하는데 너무 빠듯해가지고 뭐지 버근가? 싶었는데...
-
왕복 5시간 통학을 하겠다!
-
아 피곤하네 3
흐으으
-
오늘 글씨 ㅇㅈ 결과 99.9% 확률로 여르비 1명 90% 확률로 여르비 1명 총...
-
시대인재 0
시대인재에 반수반 있나요 있으면 성적은 뭐로 보나요
-
다즈비단은 조용히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
남돌프사 달거나 아니면 끝까지 남르비인척 해라... 배신감 max
-
굿나잇 9
일찍 일어나는게 얼버기인데 일찍 자는건 머라그러지 암튼 잘자요
-
지금 현역이들이 저를 보는게 제가 고3때 등급제 수능 사람 보던 느낌이겠구나 하니까...
-
난 남이랑 절대 같이 못 살 거 같음 내 공간이 너무 좁으면 진짜 정신병 걸릴 거...
-
우웅
-
대학고민입니다. 1
6모 31312 9모 21112 수능 24234 재수해서 이런 성적이 나온 상태인데...
-
라이브 수강생인데 지난 회차 복습영상을 시대인재에 문의하면 구매할 수 있나요??
-
노베인데 올해 간호학과 가고 싶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
안그래도 요즘 10
생활패턴도 곱창나고 방구석에 틀어박혀서 하루종일 휴대폰만 보니까 우울했는데 아까 내...
-
17수능 뱃은 너무 화석처럼 보임
-
김승리 김동욱 0
김동욱쌤커리 타는데ㅜ 아직 많이 안들어보ㅓㅆ는데 사람들이 자꾸 별로라 그러고...
-
찰칵 6
-
18년도에 mlb에 빠진 이후로 kbo진짜 잘 안보게 됨… 지금 보면 내가 알던...
-
달려보자
-
내 금전상황이나 언어능력보면 파주 영어마을이나 가야할듯
-
꺅 이제 긴장도 안된다
-
단 역은 성립하지 않음
-
콴다 프로필 2
얼굴사진 나온걸로 해야함요?
-
빕스애술리말고뭐잇지
-
집 ㅈㄴ 춥네 0
보일러 열심히 돌렸는데 이제 겨우 16->17도 됨 에휴다노
-
“Never give up 이대로 끝내고 싶지 않아” -Imagination by...
-
친구랑 야구장 가고 싶다… 야구 엄청 좋아하는데 대학 수업 듣고 지하철 타고 직관...
-
8화공으로 무혈입성.
-
아이패드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컴터로 보내고 싶은데 방법 없을까여 ㅠㅠㅠㅠ...
-
시간이 압도적으로 부족한 현역이 표본이 아무리 고여도 그 적은시간으로 현역정시의대가...
-
진짜 거짓말 안 하고 딱 두 번 멈췄는데 저리 나옴
-
매일매일~
-
심심하다 22
아무헛소리나해주세요
-
이제 중2 올라가는 학생이고, 수학은 잘하는 편이거 같은데 이 학생 고1...
-
지겹다 지겨워 6
이 놈의 인기란.. 후.. 슈퍼스타의 삶은 힘들구나
-
영어 공부 0
예비 고3입니다 고1때 부터 고2때까지 모고는 무조건 2만 나왔었는데 그동안 공부를...
-
심심 2
심심심
-
바보같이 틀린 거 개많은데 그 중에 하나만 맞았으면..
제가 이렇게 풀었습니다
확실히 하방 만들기는 참 좋아요
맞습니다
시험장에서는 하방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원래 낮1~높3까지 진동했는데 이거 하고부터는 성적표에서 3은 사라지더군요
시험지 난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루틴으로 만들고 시간과 결부시키면 참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저는 11시까지 11~15, 21, 22를 뺀 모든 문제를 푸는 걸 목표로 잡았었는데 기준을 세우니까 현장에서 난이도도 어느 정도 가늠이 되고, 시간 조절이 훨씬 쉬워지더라고요.
지우지말아주세요
공감되네요
자도 이번 수능 수학 8번에서 막혔지만 수도 없이 많은 모의고사로 단련(?)이 되어 있었어서 큰 문제없이 수학시험을 마칠 수 있던 기억이 납니다.
작성하신 칼럼들 다 보았습니다.
이해하기도 쉽고 다 너무 도움되는 글이네요.
다음 글들도 기대하겠습니다.
항상 확통 만큼은 100이던 친구가 비결이 뭐냐고 물어봤을때 그냥 5번씩 푼다고 그랬는데 이런 느낌이였나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