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0 법칙은 학창시절에도 적용된다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71721519
현실에선 인가경도 상위권이다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단순 수치상으로는 정시 상위 20% 정도의 학생들이 해당 대학에 진학하므로 표면적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많은 분들이 간과하시는 사실은 바로
생각보다 고등학생때 공부를 제대로 한 사람은 별로 없다는 것입니다.
표준편차 20 정도의 전형적인 수도권 일반고를 기준으로 할때, 대략 20% 정도의 학생들이 "그나마" 고3 및 시험기간때 공부를 하며, 나머지 80%의 학생들은 시험기간때 조차도 거의 공부를 하지 않습니다. (하루 순공시간 3 시간 미만)
한마디로 대학교 입시는 공부하는 20% 의 학생들 간의 경쟁입니다. 상위 20% 정도의 대학까지만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공부한 학생들 중 최하위권 학생들이 진학한다는 뜻입니다.
물론 머리가 나쁘거나, 공부재능이 없는 등의 예외적인 상황은 존재하지만, 이런 경우는 전체 표본의 1% 미만입니다.
한마디로, 대학 입시를 준비하시는 수험생 분들이라면 (~인서울 정도면 상위 15%니까 공부 열심히 한거지) 등의 자기최면으로 자신의 나태함을 정당화시키지 말고, 최선을 다해서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를 응원하겠습니다.
의치한약수- 높은 지능 + 하루 8 시간 이상의 순공시간
SKY- 어느 정도 높은 지능 + 하루 8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서성한중- 하루 4-6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 낮은 지능 + 엄청난 노력
경외시건- 하루 3-4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 낮은 지능 + 8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동홍부경- 하루 3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 낮은 지능+ 6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국숭세인아곽- 하루 2-3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 낮은 지능 + 4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광명상단항- 하루 2 시간 미만의 순공시간 / 낮은 지능 + 3-4 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한서삼 인가경- "학창시절 중 연필은 잡아본 적이 있다" / 낮은 지능 + 3시간 정도의 순공시간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러가겠습니다 9
오늘 좀 늦게자네 내일도 나가야해요
-
무물보 9
예
-
조발 진짜 느리네요;; 시립대
-
큰거오냐? 10
드디어 빈칸을 다 메꿨당
-
수학 아카이브 줄여서 수아입니다. 제 친구 전여친 이름이 수아라 저격한 거임 ㅋㅋ...
-
그정도는 아님 솔직히 ??? : 그렇게 쉬워서 너가 정시로 거기를 갔구나ㅋ 야 난...
-
어릴 때 외국에 살아서 영어는 잘 하는데 국어가 너무 어렵네요. 국어가 수학...
-
1일차: 자이스토리 실전 독서 ABCD, 수능기출의 미래 5지문+확실해 빈칸 1강,...
-
궁금해요
-
전자가 너무사기라 리스크를 걸겠음 최대 10년까지만 돌릴수있고 10년돌리고나면...
-
지사약 다니는데 시급 4만원은 과한가요? 고2 과외해본 경험 있고 6 9 수능 모두...
-
선착1인 이미아는사람제외 요루시카관련릴스에서 요붕이티내고다니는게 나임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잠이 안오네 9
하 ㅜ힘들다
-
의대 13명 치대 1명 한의대 2명 약대 1명 수의대 5명 ======= 의학계열...
-
음주운전하다 면허 정지되서 수년째 버스타고다니는건 예사고 도박도하는거같고 엄마방에서...
어...;;
아무리 그래도 이건 좀 아닌 거 같아요
적어도 제가 일반고에 다니면서 느낀 점은 이겁니다.... 물론 예외적인 경우 역시 존재할 수 있고 부득이한 이유로 하위권 대학에 진학한 수험생 분들의 노력을 폄하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형님 우선 80%가 공부하지 않는다는 건 너무 과도한 추측인 것 같습니다.
그 말이 참이라면 전교생 200명이 있는 고등학교에선 40명만 공부한다는 겁니다.
이건 직관적으로 생각해도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공부 시간에 따라 대학이 나뉘어지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무슨 게임처럼 n시간만 공부하면 X대학이었다면 모두가 n시간 공부해서 X대학 갔겠죠.
여기서 N시간은 잡생각 없이 "순수하게" 집중하며 공부한 시간입니다
순수한 시간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이 들어간 순간 논증/반증가능성이 사라지기에 더이상 쓸 글은 없는 것 같네요.
타자가 공부하는 시간 중 순수하게 학업한 시간은 우리가 알 수 없으니까요
다만 논란의 여지가 충분한 주제인만큼 요컨대 선생님께서 보다 더 정확한 통계와 사실에 근거한 설문 따위를 혼합하여 논지를 전개해주십사 하는 따름입니다.
단순히 저렇게 나눌 수 있다면 인간이랑 게임 캐릭터랑 다를게 뭐죠 ㅋㅋ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마치 시발점만 하면 2는 뜬다!
뭐 이런 말 듣는 기분 들었어요
사람 실력마다 풀어야 할 문제집의 양은 다르고
사람 실력마다 할애해야 할 공부 시간은 다른데
한 가지 절대적인 스탠다드로
이 것만 풀면 무조건 N등급
이 시간만 공부하면 무조건 A대학
을 단정하는 건
세상을 너무 단편적으로 보는 것과 동시에
그 범주에 들지 못하는 사람을 타자화, 비정상화하는 폭력이자 무논리죠 솔직히.
그렇게 인간을 범주화하기가 쉽나요?
그런 건 게임 공략법에서나 통한다고 봅니다.
시발점 그것도 말도 안되는 헛소리인게
진짜 시발점만 해도 2가 떠야하면
모두가 시발점을 했겠죠.
만약 정말 A하면 무조건 B이다,
같은 도식이 단 한개라도 수험생활에서 성립했다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오늘도 공부법에 대해 질의하고 공부법 도서들이 출판되었을까요.
여기서 별다른 객관적 통계 자료 없이
그저 "진정으로, 순수하게 공부하는 시간이 적어서 그렇다." 라는 건
제가 봤을 때 유대인 배후설같이 너무 오바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하루에 10시간 공부한다 하면
물론 그 10시간 내내 올집중하진 않겠지만
아무리 낮게 잡아도, 직관적으로 5시간 이상은 집중하지 않겠냐 이겁니다.
깔끔한 주장, 교양이 느껴지는 멋진 표현과 제 전적대를 때리는 아픈 닉의 부조화라니…
엄 … 아닌거같아요 저도 일반고재학중인데 한서삼 갈정도면 연필을 놓지않고 남들하는만큼 꾸준히는 한거임…
글고 전 모고 내신 다 스카이 서성한 라인이지만 8시간 해본적도없움… 순공8시간이면 대단한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