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wess [1113029]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5-02-05 02:15:41
조회수 818

2025 서울대 정시 지원자/예비 합격자를 위한 정보글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71792258

(10.0M) [20]

2025 SNUPEDIA 국문.pdf

(345.1K) [14]

2025학년도 학부 신입생 특별시험 안내.pdf

(6.0M) [21]

2025학년도 1학기 기초교양 수강편람 공통교육과정 안내.pdf

(199.9K) [8]

2025학년도 1학기 S-CARD 발급 안내.pdf

(812.8K) [9]

관악학생생활관 학부신입생 신청 및 등록 안내문(2025학년도 1학기).pdf

(81.2K) [7]

2025학년도LnL학부신입생LnL신청및선발안내.pdf

(24.9M) [12]

수강신청 매뉴얼.pdf

(9.2M) [15]

서울대학교 교과과정 개요.pdf

(5.4M) [36]

서울대 자취 가이드북.pdf

글 특성상 상당한 장문입니다.

여러 개의 문서에 흩어져 있던 정보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글을 다 읽지 않으실 분들은 이 색으로 된 부분만 보세요.


목차 

(1) 일정
(2) 교과평가

(3) 행사/신청

(4) TIP/참고자료




(1) 일정


[1] 합격 전

- 합격 확인은 https://admission.snu.kr에서 할 수 있고, 합격 발표 기간 내 합격증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



[2] 합격 후



- 일정표 사이트는 https://sugary-dimple-6c7.notion.site/18ffbbe394ba814cb26ee0ad54aef490 입니다. 변동 사항이 생기면 업데이트하겠습니다.



(2) 교과평가


- 다른 학교들처럼 한 번에 합불이 결정되지 않고 2단계가 있는 이유입니다. 내신반영이라고도 합니다.

- 학생부를 보고 입학사정관 2명이 각각 A,B,C를 정성적으로 부여해 그 조합대로 점수를 주는 제도입니다. 즉 학교 수준이나 전공 적합성 등을 (명시적이진 않지만) 고려하므로, 뭘 받을지 아무도 모릅니다.

 * 다만 사례 공개 + 설명글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 https://orbi.kr/00065193945

 * 추가 사례: https://orbi.kr/00071773899

- 평가 조합은 : AC는 없고, AB, BC는 드물고, AA, BB, CC가 대부분입니다.

- 정시 일반과 정시 지균이 점수 배점이 다릅니다. 정시 기균(농어촌/저소득)은 해당 사항 없습니다.

- 동점자 처리 기준은 요강에 안 나와 있지만, 학생부 평가도 반영하며 비공식적으로 수학>국어>탐구 순으로 비중을 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영어도 반영할 듯한데, 어느 정도 영향일지는 모르겠습니다.
- 체교과, 음대, 미대는 실기를 반영하므로 제외하였습니다.


[1] 정시 일반

- 복잡해 보이지만 결국 웬만하면 서울대식 1차 점수로 가되, 1단계 합격자들 간 점수 차이가 너무 심하면 (최저점을 기준으로 한) 차이에 곱해 그 차이의 정도를 줄이겠다는 소리입니다. 1보다 작은 수를 곱한 후 거기에 덧셈연산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수처럼 보이는 교과평가 점수는 사실은 영향이 매우 커질 수 있는 변수인 겁니다.

- 이 값을 α라 하면, α가 0.6정도일 경우(최고점-최저점이 33점; 이 정도면 많이 큰 편입니다) BB와 비교했을 때 CC의 감점은 서울대식 5점입니다. 투투 가산점과 동일한 수준이지요.

- 물론 원서접수가 다 끝난 지금은 의미가 없지만, 그래서 CC는 대형과로 가면 안된다는 조언을 하는 것입니다. 1단계 전형은 정원의 2배수를 뽑기 때문에 정원이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점수차가 많이 벌어지고 α가 작아질 가능성이 높아서 그렇습니다.



[2] 정시 지균

- 일반전형과 식의 형태는 동일하지만, 조정된 계수로 인해 교과평가의 영향력이 훨씬 큽니다. 이유는 :

- ①  α의 분자 ↓ = 수능 영향력 ↓

- ② AA, BB, CC 간 차이의 영향력 * 2

- 학교 추천을 받는 지균 특성상 CC는 거의 없겠지만, 어쨌건 AA에게 상당한 이점을 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직접 계산하기 번거로우실 분들을 위해 제가 교과평가 계산기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HF3qgCzPpFGWE5dDg1SmWnlDTTBHDDrtQkRqJB8fX4E/edit?usp=sharing

- 파일>사본 만들기/다운로드 해서 쓰시면 됩니다.





(3) 행사/신청



-행사-


- 모든 행사는 필참이 아니므로 원한다면 모두 불참할 수 있지만, 그래도 최소한 한 개의 행사라도 가는 것이 이후의 생활에 여러모로 좋습니다. 웬만하면 가시기 바랍니다.

- 행사 중간 혹은 후에 술을 마시는 자리가 있을 수 있으나, 술 강요는 전혀 없으니 술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혹시라도 있으면 새내기방 등에 상주하시는 고학번 분께 제보하시면 됩니다.)

- 여기 있는 행사는 모두 개강 전에 하는 행사들입니다. 개강 후에도 MT 등 여러 행사가 있습니다.


[1] 새내기대학(새대)


- 새대는 서울대학교 신입생 전체를 대상으로 본부에서 하는 행사입니다. 총 4차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 올해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시생들이 신청 가능한) 3, 4차 새대 신청 기간은 2/7(금) 19:00 ~ 2/9(일) 12:00 입니다. 합격하자마자 거의 바로 신청해야 하니 참고하세요.

- 신청은 https://student.snu.ac.kr/index.php?hCode=ORIENTATION_CHECK에서 할 수 있습니다.

- 참여 시 에코백과 서울대 곰인형을 줍니다.

- 1부 행사가 지루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굳이 열심히 들으려고 애쓰시진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 더 자세한 정보는 https://student.snu.ac.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새내기배움터(새터)


- 새터 각 단과대별로 진행하는 행사이며, 정원이 적은 곳들은 연합새터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 의예과의 경우 새터는 없고 대신 2/28에 자체 미터가 있습니다.

- 보통 2박 3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일반적으로 레크리에이션, 공연 등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물론 술자리도 있습니다.

- 단과대 대부분의 새터 일정은 일정표에 정리해 놓았습니다. 신청 기간은 단과대마다 다르니 합격 후 단톡방을 참고하세요.



[3] 미리배움터(미터, 미배)


- 미터 총학생회에서 주관하는 행사입니다. 새대와 유사합니다.

- 가장 늦게(2월 마지막주) 하는 행사이므로, 아직 신청/일정 공지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나오면 일정 사이트와 이 글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 새대 미참여 분들을 우선수용합니다.

- 더 자세한 정보는 (작년 미터)https://www.instagram.com/we_snu_64th/p/C3CdytbSlw1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OT/신입생환영회(신환회)


- 과OT의 경우 과마다 OT라고도 하고, 신환회라고도 합니다. 보통 각 과 단톡방에서 공지해 줍니다.

 * 경영대같이 분반이 있는 경우 둘이 별개인 경우도 있으니 단톡방에서 확인해보세요.

- 단과대 OT는 단과대마다 하는 경우도 있고 안 하는 경우도 있으니, 얘도 직접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 수시/정시 나눠서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수시만 하는 경우나 새터와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니 일정은 직접 확인하셔야 합니다.

- 보통 몇 시간 정도로 진행하며, 대학 생활 조언이나 시간표 설명 등을 해줍니다.

- 뒷풀이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동기 및 선배들과 친해지기 좋은 기회입니다.

- 좋은 정보가 많으니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입학식 


- 2/27에 진행되는, 말 그대로 입학식입니다.

- 부모님들이 많이 오십니다. 꽃 받고 사진 찍고 하는 익숙한 행사입니다.




-신청-


[1] 신입생 특별시험

- 신입생이 볼 수 있거나 봐야 하는 여러 시험들입니다. 각 시험별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어

- 영어는 모든 신입생이 필수로 응시해야 하는 과목으로, TEPS를 봅니다.

- 맨 위 일정을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시험 일정이 굉장히 빡빡합니다. 합격 발표가 7일 금요일 저녁인데, 당장 이틀 뒤 일요일에 시험을 봐야 합니다.

- 특히, 시험 신청이 2/8(토) 11:59 까지인데, 합격 바로 다음날까지라서 놓치기 쉽습니다.

- 이 시험을 놓친다면 (졸업하려면 반드시 들어야 하는) 영어를 1학기 때 들을 수 없습니다. 심지어 따로 볼 때 돈도 내고 봐야 합니다.

- 따라서 반드시 합격 직후에 https://group.teps.or.kr/html/SNUENG.html에서 신청하도록 합시다.

- 다만 추가합격자의 경우 시험 시행 이후에 발표되므로, 응시가 불가합니다. 안타깝지만 따로 TEPS를 응시하셔야 하고(할인은 해줍니다) 1학기에는 대학 영어를 못 듣습니다.


- 시험 점수에 따라 영어 과목이 나뉩니다.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영어 : 1학점 S/U(A~F가 아니라 pass or fail)과목입니다. 난이도도 굉장히 쉽습니다. 다만 각 과의 교양이수규정에 들어야 하는 영어 과목을 지정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기영은 여기에 포함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영을 듣고 나서 나중에 추가적으로 대영1을 들어야 하므로 귀찮아질 수 있습니다.


- 대학영어 1·2 :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가장 많이 듣는 점수대입니다. 고급영어나 대영 2가 학점 따기 어렵다는 소리가 있어, 고의적으로 입학시험을 적당히 봐서 대영1 점수를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영2는 대영1과 다르게 대영2:글쓰기와 대영2:말하기로 두 종류가 있습니다.


- 고급영어 : 고급영어는 대영2에서 나아가 조금 더 종류가 많아집니다. 고영:문학, 고영:학술작문, 고영:산문, 고영:영화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다만 수강생들이 수강생들인지라, 학점 따기엔 어려운 점이 있다는 평이 있습니다.


- 면제 : 영어를 듣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과에서 외국어 교양과목을 의무적으로 수강하도록 지정되어 있는 경우 영어 과목을 듣지 않는다면 추가로 제2외국어 과목을 들어야 합니다. 초급프랑스어1, 초급이탈리아어1, 라틴어 등등 많은데, 이게 싫다면 영어를 들으시면 됩니다.



{2} 수학

- 수학은 대부분의 이과 계열 학생들이 필수로 응시해야 하는 과목입니다.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영어를 보시는 경우, 영어와 같은 고사장을 신청해야 합니다.

- 그러니 위의 영어 시험 신청할 때 같이 https://group.teps.or.kr/html/SNUMATH.html 에서 신청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1차 추가합격생의 경우 2/17(월)에 추가 온라인 시험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 2·3차 추가합격생의 경우 2/24(월)에 최종 온라인 시험을 응시할 수 있습니다.


- 시험 결과에 따라 미적분학의 첫 걸음, 기초수학, 수학1, 고급수학으로 수준이 나뉩니다.


- 미적분학의 첫 걸음(미첫) : 타 학생들과 달리 수학1(혹은 수리·통계·물리용 미적분학)을 수강하지 못하고 1학기에 미첫을 듣고, 2학기에 수1을 들어야 합니다. 다만 애초에 정시로 서울대를 올 수 있는 분들이라면 아무리 못 해도 미첫은 안 나옵니다. 게다가 미첫 첫 날에 시험 한 번 더 쳐서 기수로 올릴 기회도 제공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기초수학1(기수1) : 일반 수1(혹은 미적1)과 수연1(혹은 미적연1)을 수강하되 추가로 튜터링 수업인 기수1을 수강해야 합니다. 다른 손해는 딱히 없고, 그냥 일주일에 1시간 정도 수업을 더 들어야 하는 게 유일한 단점입니다. 기수1의 경우 학기당 수강 가능한 최대 학점 제한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문제도 없습니다. 또한 2학기에 하는 수2에 붙어있는 기수2는 의무수강이 아니고, 최대 학점 제한에 포함됩니다.


- 수학1(수1) : 보통의 경우 수학1(혹은 수리·물리·통계의 경우 미적분학1)을 수강하게 됩니다. 이때 수연1 혹은 미적연1도 함께 수강합니다. 기수, 수학1, 고수1은 반드시 수연1 혹은 미적연1, 고수연1과 가급적이면 동시에 수강해야 합니다.


- 고급수학1(고수1) : 기본적으로 이수하는 내용은 수학1과 똑같지만, 수1에서 하지 않는 부록을 추가적으로 진도를 나간다거나 하는 사소한 차이는 있습니다. 그리고 고급수학은 수학과 달리 절대평가라서 학점 따기가 조금 더 수월하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단, 온라인으로 시험을 응시한 학생들은 들을 수 없습니다. 즉 추합생은 들을 수 없습니다.


- 추가로, 수연, 고수연은 학점을 매우 잘 준다고 합니다. 25점 만점의 퀴즈를 4번 보는데, 본 정보를 제공해주신 선배의 경우 출석과 unime(매주 푸는 출석퀴즈 비슷한 간단한 문제)를 전부 다 했지만 퀴즈가 4번 합해서 총 7점이었음에도 A+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 정도로 성적을 퍼주는 강의이니 수연에 대한 학점 부담은 가지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신청 가능한 영어와 수학 고사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3} 물리·화학

- 물리와 화학 시험은 선택에 가깝습니다. 

- 매해 고급물리/고급화학으로 배정받는 학생들은 20명 가량이라고 하니, 자신이 물리와 화학에 자신이 있다면 도전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다만, 2·3차 추가합격생은 응시가 불가합니다.



{4} 글쓰기

- 글쓰기도 모든 학생이 필수로 봐야 하지만, 학기 시작 후 치를 뿐더러 3일 안에 글만 쓰면 되는 온라인 시험이기 때문에 부담이 덜합니다.



- 시험 준비물이나 결과 확인 등의 사항은 첨부해드린 '2025학년도 신입생 특별시험 안내.pdf'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더 자세한 정보는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홈페이지(https://liberaledu.snu.ac.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기숙사(관악학생생활관, LnL)


- 기숙사는 크게 관악학생생활관과 LnL로 나뉘고, 관악학생생활관은 다시 구관(일반동; 919 및 92X), 신관(신축동; 901), 글로벌(915,916)로 나뉩니다.


{1} 관악학생생활관


- 소득분위와 지역을 반영해 점수제로 들어갑니다. 관별로 점수 커트가 다르니, 합격 후 본인 점수로 기숙사 입주가 가능할지 선배들에게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소득분위는 한국장학재단에서 산정해야 합니다. 보통 신청 후 6~8주 정도 걸리는데다 1차 신청도 끝났으므로, 안타깝지만 정시 합격생들은 미리 신청해두지 않았다면 기숙사 신청 기간 안에 소득분위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 경우 소득분위 '미신청'으로 선택 후 진행하게 되며, 소득분위는 9·10분위(가장 높은 분위)로 간주됩니다.

- 지역은 다음과 같이 점수가 매겨집니다. 지역 기준은 부모의 거주지 중 더 가까운 곳 기준입니다. 보면 아시겠지만 서울 근교 거주자는 애초에 신청이 불가합니다.


- 지원은 아래의 관들 중 하나에 단독지원하거나, 복수지원을 선택하거나 둘 중 하나의 방식으로만 할 수 있습니다. 복수지원 시 모든 동에 신청되며 다만, 대기번호 중 가장 먼저 발표되는 곳으로 강제 배정됩니다.


- 구관(92X) : 별명이 마구간(마구관)입니다. '살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바퀴벌레, 곰팡이, 버섯 등과 친해져야 합니다. 2인 1실입니다.

- 구관(919) : 지원 시 92X와 묶여있지만, 생활환경은 그보단 훨씬 살 만한 편입니다. 하지만 일단 구관을 지원하면 동은 랜덤배정이라 운에 맡겨야 합니다. 2인 1실입니다.

- 신관 : 아무래도 신축이라 시설이 좋습니다. 마찬가지로 2인 1실입니다. 단, 방학 거주가 불가합니다. 그리고, 올해 901동 인원수가 많이 줄어 안내문에 이런 문구가 추가되었으니 참고바랍니다.

- 글로벌 : 2인 1실과 4인 4실이 있어서 따로 지원하며, 이름대로 외국인 비율이 60%입니다. 시설도 나쁘지 않습니다.


-단독지원시 컷은 보통 신관>>글로벌>구관 입니다. 참고로 서울대의 성비로 인해 여자가 배정에 좀 더 유리합니다.

-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을 위해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이 있는데, 첨부해드린 '관악학생생활관 학부신입생 신청 및 등록 안내문(2025학년도 1학기).pdf'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 구조 등 더 자세한 정보는 관악학생생활관 홈페이지(https://snudorm.snu.ac.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LnL

- 시범사업으로, 기숙사생들끼리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활동이 그다지 부담스럽지는 않다고 합니다.

- LnL 입사자는 필수적으로 1학기 - 관악모둠강좌(2학점), 2학기 - 학생자율세미나(1학점) 교과목을 수강해야 합니다. 최대 학점 제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지역 때문에 관악학생생활관 신청이 불가능한 학생들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 명확한 점수제는 아니지만, 성별, 지역, 단과대 비율을 고려한다고 써있긴 합니다.

- LnL 906동과 LnL 919동 두 개로 지원 단위가 나뉘며, 하나만 선택 가능합니다.


- 올해 시스템이 바뀌어 관악학생생활관과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통학이 가능하신 분들은 질러보시고, 통학이 불가능하신 분들은 떨어지면 강제 자취니 안전하게 관악학생생활관으로 넣으시면 될 듯 힙니다.


-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을 위해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이 있는데, 첨부해드린 '2025학년도LnL생활관입주신청및선발안내.pdf'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 구조나 활동 내용 등 더 자세한 정보는 LnL 홈페이지(https://lnl.snu.ac.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S-CARD(학생증)


- S-CARD 또는 서울대 학생증은 캠퍼스 내 시설물 출입 등에 이용됩니다.

- 금융기능 여부를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는데, 웬만해서는 있는 걸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학생증에는 자동으로 입학원서 사진이 들어가는데, 사진 교체 신청이 2/7(금) 17:00까지이기 때문에 안타깝게도 정시 합격생분들은 사진 교체가 불가능합니다(교체 신청에 서울대 메일이 필요하므로 굳이 바꾸고 싶다면 재발급 필요).

- 온라인 신청 기간은 2/13(목) ~ 2/18(화)이며, 신청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온라인 신청을 놓쳤거나 추가합격자인 분들은 3/18(화) 이후 서울대 안에 있는 우리은행으로 직접 가셔야 합니다(그동안 모바일 S-CARD 사용 가능).



- 더 자세한 정보는 mySNU ID 발급 후 https://my.snu.ac.kr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TIP/참고자료


-TIP-


[1] 용어사전


* 일부 용어는 SNUPEDIA의 설명을 참고했습니다.


- 과방 : 학과 방, 즉 어떤 학과의 학생들을 위해 마련된 휴게실을 뜻한다. 

- 드랍(Drop) : 개강 이후 어떤 강의의 수강을 취소하는 것을 말한다. 개인적인 사유에 따라 이처럼 수강을 중도에 취소할 수 있는데, 다만 수업주수 1/2선을 넘긴 시기에는 드랍이 불가능하다.  *참고: 자체드랍
- 밥약 : 밥 약속의 줄임말로, 주로 후배가 선배에게 건다. 대부분의 경우 선배는 받아주며, 선배가 밥값을 낸다. 친해지고 싶은 선배가 있다면 부담없이 걸어도 된다.

- 보은 : 밥약을 걸었던 후배가 이후 역으로 선배에게 밥을 사주는 행위. 필수가 아니며, 선배와 더 친해지고 싶은 경우 자율적으로 하면 된다.

- 윗공대 : ⭤ 아랫공대. 공과대학 중 제 1·2공학관과 기계항공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부가 위치하는 곳. 버들골 위쪽의 매우 구석진 자리이며, 기후가 혹독하다. 4개의 버스노선이 만나는 곳이어서 의외로 교통이 편리하다.

- 자체드랍(자드) : 원칙적으로 드랍이 불가한 강의를 자체적으로 드랍, 즉 재수강 가능한 점수대까지 평점을 놔버린 후 재수강을 노리는 것을 말한다. 단, 재수강은 최대평점이 A0로 제한되며 재수강이 불가한 강의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평점 : 대학교에서 한 과목의 성적을 표시하는 단위. 서울대는 4.3 만점으로 계산하며, A+부터 F까지의 성적이 있다. A0, B0, C0, D0, F가 각각 4, 3, 2, 1, 0점이고 ±당 0.3점이다.

- 프락치/쁘락치: 후배인 척하며 단톡이나 모임 등에서 행동하는 선배를 말한다. 후배들 사이의 교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투입되며, 특정 시기 이후 정체를 공개한다.

- 학점¹: 대학교에서 학생의 학과 이수를 계산하는 단위. 한 학기에 15시간 이상 수업을 할 경우 1학점이 인 정되며, 일반적으로 한 교과목은 1~3학점이다.

- 학점² : 평점의 다른 말. 정식 명칭은 평점이다.



[2] 셔틀버스/지도


- 서울대학교 캠퍼스는 크기가 굉장히 큰 편일뿐더러 경사도 심해, 교내에서 셔틀버스가 다닙니다.


- 지도를 참고하셔서 건물들의 위치 및 정류장 위치 등을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수강신청 시 이동거리를 고려해야 되므로, 건물들은 동 번호로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도움되는 글


- "일어나니 점심때" 님의 '설대 새내기를 위한 팁' : https://orbi.kr/00061480681


- "용킹콩" 님의 '대학생활팁' 글들 (단, 16년도 글이므로 정보 충돌 시 본 글의 정보를 우선시) :

0. 대학생활의 구조: https://orbi.kr/0007383577

1. 신입생맞이 행사편: https://orbi.kr/0007428415

2. 신입생의 대처법: https://orbi.kr/0007474491, https://orbi.kr/0007502892 -OUTDATED, 문화 바뀜-

3. 통학vs기숙사vs자취의 모든 것: https://orbi.kr/0007556442

4. 재수,삼수,N수 새내기들 필독: https://orbi.kr/0007648574

5. 입학 후 새내기의 과생활들: https://orbi.kr/0007665404


- "밥풀화2" 님의 '대학생활을 위한 새내기 꿀팁' : https://orbi.kr/00071761301


- 자취하실 분들을 위한 '자취방 구하기 팁' : https://spectacular-hornet-ba2.notion.site/txt-c10083cb6ac241d3a8dca661a3c6055c 



-참고자료-


중요도 순으로 배치하였습니다.


- 2025 SNUPEDIA 국문.pdf : 서울대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정리해 놓은 공식 배포 자료입니다. 한 번쯤은 꼭 읽어보세요.

- 2025학년도 학부 신입생 특별시험 안내.pdf : 신입생 특별시험과 관련해서 모든 사항이 나와있습니다. 영어는 필수고 수학도 반필수니 읽어보시는 게 좋습니다.

- 2025학년도 1학기 기초교양 수강편람 공통교육과정 안내.pdf : 교과목 이수에 대한 안내자료입니다. 얘도 읽어보셔야 합니다.

- 2025학년도 1학기 S-CARD 발급 안내.pdf : 학생증 관련된 안내자료입니다.

- 관악학생생활관 학부신입생 신청 및 등록 안내문(2025학년도 1학기).pdf : 관악 기숙사 입주 희망하시면 정독하세요.

- 2025학년도LnL학부신입생LnL신청및선발안내.pdf : LnL 기숙사 입주 희망하시면 정독하세요.

- 수강신청 매뉴얼.pdf : 아직 이르긴 하지만, 미리 수강신청 방법을 익혀두고 싶으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 서울대학교 교과과정 개요.pdf : 얘도 아직 이르긴 하지만, 대충 어떤 과목인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 서울대 자취 가이드북.pdf : 예전에 학생회에서 배포한 자료입니다. 자취 고려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세요.






쓰다 보니 조금 늦어졌군요.

긴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합격 대기 중인 모든 분들에게 좋은 결과가 있으시길 바라며,

혹 추가하면 좋을 내용이 있거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댓글이나 쪽지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 Prowess였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