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분석칼럼]1등급 되기 위한 출제자 심리 파헤치기 (5) 헤겔 변증법
게시글 주소: https://h.orbi.kr/00062482138
오늘 분석할 지문은 2022 수능 헤겔 변증법 지문입니다. 많은 선배들께서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지문입니다. 지문과 문제 난이도 모두 상급이며 필자가 지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캐치하지 못한 채 문제에 바로 돌입했다면 문제는 찍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지문에서 무엇을 챙겨야 할지 지문 분석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미리 풀어보고 아래 분석 내용을 읽으신다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94학년도 수능 기출부터 최근 기출까지 반복적으로 출제되는 패턴 기반하여 분석한 내용이며 이를 여러 차례 정독하여 읽고 곱씹으며 반드시 본인의 지식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일관됨을 보여드리겠습니다.
1] '변증법' 낯선 개념이 등장했다. 어떻게 처리할까?
출제자는 항상 낯선 개념을 먼저 던져주고 글을 풀어가기 시작한다. 이러한 낯선 개념은 다음 문장에서 반드시 구체화된다. 구체화란 개념을 정의하거나 예시 등을 통하여 낯선 개념을 쉽게 풀어내는 것을 말한다. 능숙하지 못한 독자는 낯선 개념이 나오면 멘탈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한다. 허나 절대 쫄지 말고 '어차피 다음 문장에서 구체화 해줄 것! 마음 편하게 가자' 이러한 마인드를 확립하도록 하자. 매 지문마다 이러한 태도를 연습한 학생과 연습하지 않은 학생은 수능 현장에서 극명한 차이를 만들어 낸다.
1문단 첫 번째 줄을 통해 낯선 개념 '변증법'을 먼저 제시하고 있고 세 번째 줄에서 변증법을 '대립적 두 범주가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정의하여 주고 있다.
변증법이 지문의 핵심 개념이기에 출제자는 이 개념이 무엇인지 혹은 정의를 활용할 수 있는지 측정하고자 문제를 출제한다. 개념의 활용이기에 난이도 있는 3점 <보기>문제에서 주로 사용된다.
<고난도 3점 문제 접근 알고리즘>
1) <보기> 해석 최고의 지성적 통찰(=철학) 이 '예술'이 된다.
2) 이를 기본 논증방법 즉 변증법으로 해석한다. 즉 변증법의 정의인 '대립적 두 범주의 조화'를 활용한다.
3) 예술은 철학과 마찬가지로 '외면성' + '내면성' 조화를 이룬다.
4) 가장 유사한 선택지는 2번에 있다.
이와같이 2)에서 변증법의 정의를 활용하여 문제에 접근했다.
2] 'A가 아니라 B' 표현의 처리방법
'A가 아니라 B' 라는 표현은 기출에서 출제자가 가장 좋아하는 표현이다. 이것보다 많이 나오는 표현이 있을까?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1) 무엇보다 해석이 가장 중요하다. 출제자는 B를 강조/부각하기 위해 굳이 A를 도입하여 비교 구조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A는 없는 것이라 봐도 무방하고 B만 강조하여 읽으면 된다.
2) 문제 활용 측면에서는 A와 B 모두 사용된다. A와 B를 구성하고 있는 어휘는 반드시 '대립'을 이룬다(A<->B). 주로 A를 활용하여 오답 선택지를 만든다. 이 지문에서는 활용되고 있지 않기에 우선 넘어가고 보일 때 마다 설명할 것이다.
3] 문단이 바뀔 때 확인해야 할 것! : 내용 상 초점의 이동
문단이 바뀌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아니 습관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 있다. 내용 상 초점의 이동이 있는지 여부이다. 이는 문단 간 관계를 살펴 봄으로써 알 수 있다. 주로 바뀐 문단의 첫 번째 줄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1문단에서 변증법이라는 낯선 개념과 이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체계를 설명했다.
그런데 2문단 첫 번째 줄을 읽으니 변증법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미학'이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내용의 초점이 미학으로 이동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본질적 내용은 '미학'이 되며 앞의 '변증법'은 결국 이 미학을 설명하기 위한 전제가 되는 정보이다. 다시 말해 변증법을 통해 미학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처럼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해야만 글의 전체적 흐름이 보이며 문제에 접근할 때 필요한 요소들을 즉각적으로 지문에서 뽑아낼 수 있다.
4]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는 분산 시키지 마라
위 3]에서 우리는 미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학을 구체화하면 '예술'이다. 그러나 위 지문에서 예술만이 아니라 종교,철학 등 세 개의 개념이 나란히 등장한다. 미숙한 독자는 초점을 분산 시켜 예술/종교/철학 모두에 집중한다. 이 지문의 필자는 철저히 미학 즉 예술에 대해 말하고 싶어하는데 종교/철학까지 집중하여 다 챙기려고 하니 주제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종교/철학은 문제에서 필요로 할 시 돌아 올 수 있을 정도의 표시만으로 충분하다.
지문에서 미학/예술과 관련된 흐름을 체크하면 [미학 -> 예술 -> 직관의 형식 -> 외면성 -> 객관성]이다. 이와 같은 형식 상 차이로 인하여 내용 인식 상 차이 또한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결국 필자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예술은 초보 단계 수준'이라는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거 뭐냐 2
썸남 복사쇼 뭔데 그래서 노 무 현이 원조인거죠?
-
중3때까지 프로팀 유스였는데 그 이후로 선수 경력 x 대학 축동 가서 그냥저냥 할 수 있을까요?
-
그야 내가 처음이니까
-
1번에서 치환적분 아이디어 수능에는 못 나오겠죠 계산도 살짝 짜증남
-
뤼 f프레슁 할려고 스카왔는데 책펴고 문제푸는사람나뿐이고, 다들 무슨 패드에 막...
-
라이엇에서 하는거라고요 님들아
-
서바 다 푼 티 내기 퍼포먼스 수업 초보: 펜 돌리기, 종이 펄럭거리기, 두리번...
-
이거 사칭임? 5
뭔 교통법규위반인지 모르겠고 원래 정부24가 저 전화번호로 전송함?
-
요새 좀 느리네
-
탈오르비 5
홍대 안될것같아서 걍 마음을 내려놓고 다른 대학 가서 반수나 하렵니다 다들안녕…...
-
。◕‿◕。 교대생이라 잘 가르쳐요
-
네임드가 안되서 글을 싸재꺄도 호응이 어쩌구 저쩌구 ㅋㅋㅋ 18
니가 글을 재밌게 쓰던가 좀 ㅋㅋㅋㅋㅋㅋ 네임드가 뭔 금수전줄 아노
-
실시간으로 오르는중
-
ㅈㄴ못생김
-
흐아아 귀찮아서 3일 째 1일 1식 중쌀은 아예 안 먹음
-
아침밥 0
바나나하나랑 단백질음료...
-
작년엔 정법사문이었고 정법은 1틀 2라 그대로 할 생각인데 사문은 4 떠서 바꿔야...
-
째깍째각
-
뭐가 있을까요?
-
실모 오답은 이렇게 해야 합니다
-
추합되기전에 최초합한 학교 등록을 했다가 포기해야하나요? 2
제목 그대로 최초합한 학교가있고 지금은 예비고 추합예정인 학교가 있는데 일단...
-
제발 0
제발,,,
-
뭐가 더 나음? 전자:1등급+2등급 인원 1.5% 후자:만점자 17%
-
오르비 첫 글입니다 13
빵굽습니다 으흐흐
-
감사합니다.
-
동대구역 가는중 전한길집회 가신다해서 따라 가는중
-
오늘은꼼작도못하겟다
-
인스타 고자라서 2
스토리를 올렸는데 누가 봤는지도 모르겟네..
-
김준이 피트하다가 피트 사라져서 수능판 온거임 피트 있었으면 김준 수능판 안와서...
-
진지하게 주말 하루 빼고 주 6일 순공 10시간은 진짜 대단한게 맞음. 이걸...
-
5시에 자서 지금 일어남 9시간을 자네;
-
수능 끝나고 할거 없어서 수능공부한다 하는거 보고 와 그쪽은 진짜 심연이구나 .....
-
흠
-
이 미친놈
-
다군 국민대 법학부 19명 모집인데 지원자 수 225명이고 예비는 58번 받았어요....
-
옯스타에 스토리로 올릴게요 히히
-
닉변할거 추천받아요
-
비문학 누구는 예상하면서 읽으라하고, 누구는 자기생각 배제하라하고 15
어쩌다 공부의왕도에 현역때부터 항상 명문대갈 성적됐는데 정작 비문학하나 때문에...
-
국어 소신발언 0
국어 싫어 독서든 문학이든 화작이든 언매든 다 싫어
-
손들어 1
손 든 채로 발도 들어
-
과기대에서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그리고 모교 교수까지 9
24년에 기계공에서 옥스퍼드 박사로 간 과기대학생이 있었는데 msde에서도 있었네요...
-
라는 글을 쓰면 26수능 28번은 4지선다가 되겠군요.
-
삼각 vs 사각 2
김밥 만드는 중인데 어떤 모양이 더 맛있으려나요
-
요즘 날씨 1
굿
-
왜 나만 뱃지가
-
진짜 내가 본 애 중에서 가장 잘생긴 애인듯 쥰내 잘생김..
-
7시까지 숨만쉬고 공부할거야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ㄹㅇ
-
순수하게 뱃지 중 무쌩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